표 5 언어 소양의 진척도 예시

호주 교육과정과의 연계 학년
F 1 2 3 4 5 6 7 8 9 10
하위 요소 진척도
텍스트 이해 UnT1a UnT1b UnT1-4 UnT4-5 UnT5 UnT6 UnT7 UnT7-8 UnT8-9 UnT9 UnT10 UnT10-11 UnT11
수준 지표
(UnT1a ~ UnT1b 생략)
UnT1 이해력• 텍스트에 대한 관심을 보여준다.• 텍스트의 이미지를 인식한다.• 주변에서 일부 아이콘이나 기호를 인식한다(예: 친숙한 로고).어휘• 주변에 있는 텍스트를 포함하여 텍스트에서 친숙한 물체의 이름을 지정한다(예: 사과, 탁자, 소년).• 주변 환경에서 친숙한 아이콘이나 기호의 이름을 지정한다(예: 학교 건널목 표지판).
(UnT2 ~ UnT4 생략)
UnT5 이해력• 간단한 텍스트를 독립적으로 읽고 본다(텍스트 복잡성 참조).• 명시된 정보를 찾는다.• 순서가 있는 아이디어나 정보를 열거하거나 설명한다.• 간단한 텍스트로 명확하게 분명한 주요 아이디어를 식별한다.• 학습 영역의 내용에 참여하기 위해 텍스트를 듣는다(예: 가족 역사에 관한 텍스트).• 텍스트의 내용을 읽고 보고 새롭거나 배운 정보를 설명한다.• 뒷받침하는 이유와 함께 주제나 텍스트에 대한 의견이나 선호도를 표현한다.• 간단한 텍스트의 인쇄, 시각 및 청각적 측면을 통합하여 명백한 추론을 이끌어낸다(예: 캐릭터의 직업을 추론하기 위해 이미지와 키워드 사용).• 상상력이 풍부한 텍스트와 정보를 제공하는 텍스트 사이의 몇 가지 차이점을 식별한다(예: 동화 속 다양한 스타일의 이미지와 게임 지침).과정(Processes)• 음성 지식, 단어 인식, 문장 구조, 구두점 및 문맥 지식을 사용하여 간단한 텍스트를 읽는다(음성 지식 및 단어 인식 참조)(텍스트 복잡성 참조).• 연속적인 텍스트에서 빈도가 높은 단어를 읽는다.• 단어 순서 및 문장 경계 구두점(예: 물음표)과 같은 문장 기능을 사용하여 읽는다.• 의미가 무너지고 자기 수정을 시도할 때 일시 중지한다.• 시각적 및 청각적 신호를 사용하여 의미를 설정한다(예: 이미지의 색상, 모양 및 크기, 음향 효과).• 간단한 텍스트를 읽을 때 적절한 읽기 경로를 선택하고 특정 목적을 위해 간단한 화면 기반 텍스트를 탐색한다.어휘• 핵심 단어와 그 의미(예: 명사, 동사)를 식별한다.• 익숙하지 않은 단어의 의미를 해석한다.• 간단한 수식어 또는 감정 표현을 이해한다.• 문맥을 사용하여 동음이의어를 이해한다.
(UnT6 ~ UnT10 생략)
UnT11 이해력• 매우 복잡한 텍스트를 읽고 본다(텍스트 복잡성 참조).• 텍스트의 상징을 해석하여 해석을 정당화하는 증거를 제공한다.• 아이디어와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여러 텍스트에서 증거를 신중하게 선택하고 종합한다.• 1차 및 2차 출처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분석한다.• 유추, 아이러니, 수사 및 풍자와 같은 표현의 사용과 이러한 표현이 작가의 개별 스타일에 어떻게 기여하는지 평가한다.• 텍스트 전체에서 언어 기능 및 어휘 사용의 영향을 분석한다.• 텍스트의 가정, 신념 및 암시적 가치를 설명한다(예: 경제 성장은 항상 바람직함).• 텍스트에서 취해진 사회적, 도덕적, 윤리적 입장을 평가한다.과정• 작업 및 텍스트의 요구에 따라 의미를 설정하기 위해 읽기 및 보기 과정을 전략적으로 조정한다.• 텍스트의 미묘한 모순과 불일치를 식별한다.어휘• 학술 텍스트에서 복잡하고 공식적인 언어를 해석한다.• 익숙하지 않은 어휘를 해석하기 위해 어휘 단서를 사용한다.• 단어 학습 전략의 탐색 및 적용에 있어 자신감을 보여준다.
출처: ACARA(2023); ACARA(2020a), pp. 31-39를 참조하여 재구성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