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1a ~ UnT1b 생략) |
UnT1 | 이해력• 텍스트에 대한 관심을 보여준다.• 텍스트의 이미지를 인식한다.• 주변에서 일부 아이콘이나 기호를 인식한다(예: 친숙한 로고).어휘• 주변에 있는 텍스트를 포함하여 텍스트에서 친숙한 물체의 이름을 지정한다(예: 사과, 탁자, 소년).• 주변 환경에서 친숙한 아이콘이나 기호의 이름을 지정한다(예: 학교 건널목 표지판). |
(UnT2 ~ UnT4 생략) |
UnT5 | 이해력• 간단한 텍스트를 독립적으로 읽고 본다(텍스트 복잡성 참조).• 명시된 정보를 찾는다.• 순서가 있는 아이디어나 정보를 열거하거나 설명한다.• 간단한 텍스트로 명확하게 분명한 주요 아이디어를 식별한다.• 학습 영역의 내용에 참여하기 위해 텍스트를 듣는다(예: 가족 역사에 관한 텍스트).• 텍스트의 내용을 읽고 보고 새롭거나 배운 정보를 설명한다.• 뒷받침하는 이유와 함께 주제나 텍스트에 대한 의견이나 선호도를 표현한다.• 간단한 텍스트의 인쇄, 시각 및 청각적 측면을 통합하여 명백한 추론을 이끌어낸다(예: 캐릭터의 직업을 추론하기 위해 이미지와 키워드 사용).• 상상력이 풍부한 텍스트와 정보를 제공하는 텍스트 사이의 몇 가지 차이점을 식별한다(예: 동화 속 다양한 스타일의 이미지와 게임 지침).과정(Processes)• 음성 지식, 단어 인식, 문장 구조, 구두점 및 문맥 지식을 사용하여 간단한 텍스트를 읽는다(음성 지식 및 단어 인식 참조)(텍스트 복잡성 참조).• 연속적인 텍스트에서 빈도가 높은 단어를 읽는다.• 단어 순서 및 문장 경계 구두점(예: 물음표)과 같은 문장 기능을 사용하여 읽는다.• 의미가 무너지고 자기 수정을 시도할 때 일시 중지한다.• 시각적 및 청각적 신호를 사용하여 의미를 설정한다(예: 이미지의 색상, 모양 및 크기, 음향 효과).• 간단한 텍스트를 읽을 때 적절한 읽기 경로를 선택하고 특정 목적을 위해 간단한 화면 기반 텍스트를 탐색한다.어휘• 핵심 단어와 그 의미(예: 명사, 동사)를 식별한다.• 익숙하지 않은 단어의 의미를 해석한다.• 간단한 수식어 또는 감정 표현을 이해한다.• 문맥을 사용하여 동음이의어를 이해한다. |
(UnT6 ~ UnT10 생략) |
UnT11 | 이해력• 매우 복잡한 텍스트를 읽고 본다(텍스트 복잡성 참조).• 텍스트의 상징을 해석하여 해석을 정당화하는 증거를 제공한다.• 아이디어와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여러 텍스트에서 증거를 신중하게 선택하고 종합한다.• 1차 및 2차 출처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분석한다.• 유추, 아이러니, 수사 및 풍자와 같은 표현의 사용과 이러한 표현이 작가의 개별 스타일에 어떻게 기여하는지 평가한다.• 텍스트 전체에서 언어 기능 및 어휘 사용의 영향을 분석한다.• 텍스트의 가정, 신념 및 암시적 가치를 설명한다(예: 경제 성장은 항상 바람직함).• 텍스트에서 취해진 사회적, 도덕적, 윤리적 입장을 평가한다.과정• 작업 및 텍스트의 요구에 따라 의미를 설정하기 위해 읽기 및 보기 과정을 전략적으로 조정한다.• 텍스트의 미묘한 모순과 불일치를 식별한다.어휘• 학술 텍스트에서 복잡하고 공식적인 언어를 해석한다.• 익숙하지 않은 어휘를 해석하기 위해 어휘 단서를 사용한다.• 단어 학습 전략의 탐색 및 적용에 있어 자신감을 보여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