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2 읽기 영역의 수준별 성취기준

핵심 요소 1수준(1~2학년군) 2수준(3~4학년군) 3수준(5~6학년군) 4수준(7~9학년군)
해독·유창하게 읽기 • 글자, 낱말을 소리 내어 읽을 수 있다.• 문장, 문단, 글을 정확하게 소리 내어 읽을 수 있다.• 의미가 잘 드러나도록 글을 알맞게 띄어 읽을 수 있다.
내용 확인하기 • 글을 읽고 낱말의 의미를 파악할 수 있다.• 글을 읽고 주요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 글을 읽고 낱말의 의미를 파악할 수 있다.• 글을 읽고 중심 생각을 파악할 수 있다.• 글을 읽고 대강의 내용을 간추릴 수 있다. • 글을 읽고 낱말의 의미를 파악할 수 있다.• 글을 읽고 주장이나 주제를 파악할 수 있다.• 글의 구조를 고려하여 내용을 요약할 수 있다. • 글을 읽고 낱말의 의미를 파악할 수 있다.• 글을 읽고 주장이나 주제를 파악할 수 있다.• 읽기 목적을 고려하여 내용을 요약할 수 있다.• 글을 읽고 설명 방법을 파악할 수 있다.
추론하기 • 글을 읽고 인물의 모습, 처지나 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자신의 경험과 관련지어 글의 내용을 짐작할 수 있다. • 글에서 낱말의 의미를 짐작할 수 있다.• 글을 읽고 글쓴이의 마음이나 인물의 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자신의 경험과 연관 지어 글에서 생략된 내용을 짐작할 수 있다. • 글에서 낱말의 의미를 짐작할 수 있다.• 글을 읽고 인물의 성격, 행동, 동기 등을 추론할 수 있다.• 배경지식과 경험을 활용하여 이어질 내용을 예측하고 생략된 내용을 추론할 수 있다. • 글에서 낱말의 의미를 짐작할 수 있다.• 글을 읽고 인물의 성격, 행동, 동기 등을 추론할 수 있다.• 읽기 맥락과 일반 지식을 활용하여 글쓴이의 의도나 생략된 내용을 추론할 수 있다.
비판·평가하기 (생략)
출처: 박선화 외(2020), p. 186을 참조하여 재구성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