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5 시나리오기반 수행형 과제에 대한 채점기준

측정 영역 측정 요소 채점항목(0/1)
소통 참여 경청 C1. 친구들의 의견(입장)을 듣는다.
C2. 다양한 친구들의 이야기를 듣는 것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C3. 다양한 의견(입장)을 듣는 방법(전략)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는가?
 C3-1. 발언권을 부여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C3-2. 발언권을 고루 분배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C4. 이야기하거나 들을 때의 자세나 규칙을 기술한다.
존중·배려 C5. 당사자 및 발언자에 대해 존중과 배려를 표시한다.
C6 소수 의견에 대해 존중과 배려를 표시한다.
C7. 편견이나 비난 등의 부정적 감정들을 인식·관리한다.
소통 관리 검토·평가 C8. 의견(입장)에 대한 이유와 근거를 이야기한다.
C9. 제시된 의견들의 타당성을 검토하는가?
 C9-1. 의견들의 장단점을 분석한다.
 C9-2. 의견들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분석한다.
의사 결정 C10. 합의·결론을 도출하기 위한 방법을 마련하는가?
 C10-1. 다수결(투표)을 활용한다.
 C10-2. 제시된 의견들을 조정·중재·종합하거나, 새로운 대안을 탐색한다.
C11. 최종합의안에 따른 결정을 책임있게 수용한다.
민주적 가치 이해 C12. 대화/합의 과정의 이점과 중요성을 구체적으로 이해하는가?
 C12-1. 갈등 해결을 위한 방법이다.
 C12-2. 더 나은 해결책을 찾는 방법이다.
 C12-3. 서로 이해하고 소통을 배우는 과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