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통 참여 | 경청 | C1. 친구들의 의견(입장)을 듣는다. |
C2. 다양한 친구들의 이야기를 듣는 것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
C3. 다양한 의견(입장)을 듣는 방법(전략)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는가? |
C3-1. 발언권을 부여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
C3-2. 발언권을 고루 분배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
C4. 이야기하거나 들을 때의 자세나 규칙을 기술한다. |
존중·배려 | C5. 당사자 및 발언자에 대해 존중과 배려를 표시한다. |
C6 소수 의견에 대해 존중과 배려를 표시한다. |
C7. 편견이나 비난 등의 부정적 감정들을 인식·관리한다. |
소통 관리 | 검토·평가 | C8. 의견(입장)에 대한 이유와 근거를 이야기한다. |
C9. 제시된 의견들의 타당성을 검토하는가? |
C9-1. 의견들의 장단점을 분석한다. |
C9-2. 의견들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분석한다. |
의사 결정 | C10. 합의·결론을 도출하기 위한 방법을 마련하는가? |
C10-1. 다수결(투표)을 활용한다. |
C10-2. 제시된 의견들을 조정·중재·종합하거나, 새로운 대안을 탐색한다. |
C11. 최종합의안에 따른 결정을 책임있게 수용한다. |
민주적 가치 이해 | C12. 대화/합의 과정의 이점과 중요성을 구체적으로 이해하는가? |
C12-1. 갈등 해결을 위한 방법이다. |
C12-2. 더 나은 해결책을 찾는 방법이다. |
C12-3. 서로 이해하고 소통을 배우는 과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