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2 민주적 의사소통 관련 2022 개정 국가교육과정 내용 체계 (중학교 예시)

교과 영역 지식·이해 과정·기능 가치·태도 성취기준
도덕 타인 과의 관계 관계 속에서 발생하는 갈등·폭력을 어떻게 해결할까? • 갈등·폭력의 원인을 분석하여 평화적 해결 방안 도출하기 • 타인의 마음에 주의를 기울이는 태도• 열린 마음으로 갈등·폭력 해결에 참여하는 자세 [9도02-05] 다양한 갈등 상황을 평화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폭력의 유형과 원인, 결과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일상의 폭력 상황에 대한 대처 능력을 기른다.
사회 일반 사회 (정치) 현대 민주주의와 시민의 역할 • 공동체 의사 결정 과정에서 의사소통하기• 정치적 쟁점 해결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협력하기 • 민주시민으로서 정치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려는 태도 [9사(일사)03-03] 현대 민주주의의 특징과 과제를 검토하고, 우리나라 민주주의의 발전을 위한 제도적 방안과 시민의 역할에 대해 토의한다.
역사 근·현대 사회의 전개 민주주의의 발전 • 자료의 선택·분석·해석과 논쟁을 통해 역사 지식을 형성하기• 적절하고 타당한 근거를 가지고 역사적 사실에 대해 해석, 판단하기 • 역사에 성찰적으로 접근하는 태도 [9역13-03] 한국의 민주화 과정에서 나타난 성과와 과제를 탐구한다.
국어 듣기·말하기 토의 • 상호 존중하며 표현하기• 경청과 공감적 반응하기• 대안 탐색하기• 갈등 조정하기 • 듣기·말하기에 대한 성찰• 공감적 소통 문화 형성 [9국01-07] 토의에서 다양한 의견을 교환하여 대안을 마련하고 문제를 해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