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8 탐색적 요인 분석 결과: 교사 역할 및 역할 행동

항목 요인
1 2 3
1 블렌디드 러닝에서 학생에게 기대되는 역할, 수업 진행 일정과 절차, 평가 기준 등을 온‧오프라인 환경에서 학생들과 공유함 .867
2 학생이 자신의 학습 진행 상황을 점검해 보고, 미흡한 점에 대해 성찰할 수 있도록 안내함 .718
3 개별 학습, 협력 학습, 학생 간 소통, 교사와의 소통을 지원하는 플랫폼이나 도구를 적절하게 활용하여 피드백을 제공함 .766
4 학생이 제출한 과제에 대한 수정‧보완 요구와 학생 질문에 대한 응답을 시기적절하게 제공함 .766
5 학생의 학습 참여도나 학습 동기 수준가 낮은 경우, 그 원인을 분석하여 긍정적인 변화를 줄 수 있는 학습 활동 및 상호작용 방법을 모색함 .857
6 학생의 학습 과정에서 발생하는 학습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피드백을 제공함 .818
7 온라인 환경에서도 다양한 도구를 활용하여 학생과의 상호작용을 증진함 .764
8 온라인상의 상호작용에는 배려하는 자세를 가지며, 공감하도록 노력해야 함을 안내하고 지도함 .636
9 온라인 학습에 적응이 어려운 학생을 대상으로 필요한 경우 개별적 지원을 제공함 .665
10 온‧오프라인 상의 학생 학습 과정 및 결과 기록을 토대로 학생들의 학습 진행 상황을 점검함 .600
11 온라인에 누적된 학생별 학습 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습자 특성을 파악하고 수업 설계에 환류함 .740
12 평가 목적, 학습 과제 및 학습 환경의 특성 등을 고려하여 계획된 온‧오프라인의 다양한 평가 방식을 적용함 .773
13 온라인 평가의 경우, 부정행위가 발생하지 않도록 유의하여 실시함 .438
14 동료 교사들과 블렌디드 러닝 실행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 평가 방법, 상호작용 방법 등에 대해 주기적으로 논의함 .506 (-.429)
15 정보 기기, 플랫폼과 각종 교수학습 지원 도구(프로그램, 앱 등)의 활용 능력을 갖춤 -.476
16 정보 기기, 플랫폼과 각종 교수학습 지원 도구와 관련하여 기술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거나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함 -.862
17 개인 정보나 학습 데이터 등에 대한 보안을 설정하고, 데이터 손실에 따른 대비책을 마련함 -.684
18 학생의 정보 기기 소유 여부를 확인하고 소유하지 않은 학생들을 대상으로 대여 방안을 마련함 -.801
19 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을 확인하고 관련 소양 교육을 실시함 -.669
20 학생들에게 정보 기기, 도구와 플랫폼 사용 방법에 대한 정보를 안내함 -.681
21 학습 내용과 관련된 다양한 사안에 대해 정보 윤리 교육을 수시로 실시함 -.505
22 정보 윤리와 관련하여 학생들의 행동과 태도를 점검하고 피드백을 제공함 -.625
23 교육과정상의 성취 기준을 분석하여 온‧오프라인 활동에 적합하도록 교육과정을 재구성함 .694
24 학습 목표와 온‧오프라인 학습 활동의 특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혼합 방식(공간 활용, 시간, 그룹 크기, 교수학습 방법, 에듀테크 등)을 결정함 .769
25 학생의 정보 기기 사용 및 접근성 여부와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을 반영하여 학습 활동과 과제를 계획함 .737
26 학습 활동 및 과제의 특성과 학생의 학습 수준을 고려하여 활용할 도구(프로그램, 앱, 에듀테크 등)를 선정함 .819
27 계획한 블렌디드 러닝에 포함된 학습 활동 및 과제 수행을 위해 선정된 온라인 도구를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이 갖추어져 있는지 확인함 .819
28 학생들이 온라인 도구 활용 시 발생할 수 있는 사이버 폭력 예방을 위한 조치를 마련함 .577
29 학습 목표 달성을 위해 온‧오프라인 학습 활동에 사용될 교수학습 자료(교재, 콘텐츠 등)를 선정, 재구성, 혹은 개발함 .677
30 학생과 교사 간 직접적인 소통이 가능하도록 온라인 도구의 활용을 계획함 .601
31 학습 목표 달성을 위한 온‧오프라인 평가 계획을 수립한 후, 평가별로 학생 활동 절차와 그에 따른 평가 지침을 구체화함 .462
32 학생의 온라인 학습 활동 과정 및 결과에 대한 양적 평가 기준(참여 횟수, 참여 시간 등)과 질적 평가 기준(참여를 인정받을 수 있는 내용, 수준 등)을 마련함 .570
고유치 17.01 13.57 14.98
누적 설명량(%) 58.66 61.97 64.89
신뢰계수 0.964 0.937 0.937
※ 주: 요인 1은 촉진자:feedback과 상호작용, 요인 2는 지원자:기술(technology), 요인 3은 설계자:블렌디드 러닝 수업 및 평가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