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자 (7문항) | 학습과제, 학습자, 학습환경 분석을 반영한 수업 설계 및 자료 개발 | -교육과정상의 성취기준을 분석하여 온·오프라인 활동에 적합하도록 교육과정을 재구성함.-학습 목표와 온·오프라인 학습 활동의 특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혼합 방식(공간 활용, 시간, 그룹 크기, 교수학습 방법, 에듀테크 등)을 결정함.-학생의 정보 기기 사용 및 접근성 여부와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을 반영하여 학습 활동과 과제를 계획함.-학습 활동 및 과제의 특성과 학생의 학습 수준을 고려하여 활용할 도구(프로그램, 앱, 에듀테크 등)를 선정함.-계획한 블렌디드 러닝에 포함된 학습 활동 및 과제 수행을 위해 선정된 온라인 도구를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이 갖추어져 있는지 확인함.-학생들이 온라인 도구 활용 시 발생할 수 있는 사이버 폭력 예방을 위한 조치를 마련함.-학습 목표 달성을 위해 온·오프라인 학습 활동에 사용될 교수학습 자료(교재, 콘텐츠 등)를 선정, 재구성, 혹은 개발함. |
촉진자 (10문항) | 블렌디드 러닝 방식의 수업 진행 및 상호작용 촉진 | -블렌디드 러닝에서 학생에게 기대되는 역할, 수업 진행 일정과 절차, 평가 기준 등을 온·오프라인 환경에서 학생들과 공유함.-학생이 자신의 학습 진행 상황을 점검해 보고, 미흡한 점에 대해 성찰할 수 있도록 안내함.-개별 학습, 협력 학습, 학생 간 소통, 교사와의 소통을 지원하는 플랫폼이나 도구를 적절하게 활용하여 피드백을 제공함.-학생이 제출한 과제에 대한 수정·보완 요구와 학생 질문에 대한 응답을 시기적절하게 제공함.-학생의 학습 참여도나 학습 동기 수준이 낮은 경우, 그 원인을 분석하여 긍정적인 변화를 줄 수 있는 학습 활동 및 상호작용 방법을 모색함.-학생의 학습 과정에서 발생하는 학습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피드백을 제공함.-온라인 환경에서도 다양한 도구를 활용하여 학생과의 상호작용을 증진함.-온라인상의 상호작용에는 배려하는 자세를 가지며, 공감하도록 노력해야 함을 안내하고 지도함.-온라인 학습에 적응이 어려운 학생을 대상으로 필요한 경우 개별적 지원을 제공함.-학생과 교사 간 직접적인 소통이 가능하도록 온라인 도구의 활용을 계획함. |
평가자 (6문항) | 온·오프라인의 다양한 방식으로 학습 진단 실시 | -온·오프라인상의 학생 학습 과정 및 결과 기록을 토대로 학생들의 학습 진행 상황을 점검함.-온라인에 누적된 학생별 학습 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습자 특성을 파악하고 수업 설계에 환류함.-평가 목적, 학습 과제 및 학습 환경의 특성 등을 고려하여 계획된 온·오프라인의 다양한 평가 방식을 적용함.-온라인 평가의 경우, 부정행위가 발생하지 않도록 유의하여 실시함.-학습 목표 달성을 위한 온·오프라인 평가 계획을 수립한 후, 평가별로 학생 활동 절차와 그에 따른 평가 지침을 구체화함.-학생의 온라인 학습 활동 과정 및 결과에 대한 양적 평가 기준(참여 횟수, 참여 시간 등)과 질적 평가 기준(참여를 인정받을 수 있는 내용, 수준 등)을 마련함. |
지원자 (9문항) | 블렌디드 러닝을 위한 환경 구축 및 학생 지원 노력 | -정보 기기, 플랫폼과 각종 교수학습 지원 도구(프로그램, 앱 등)의 활용 능력을 갖춤.-정보 기기, 플랫폼과 각종 교수학습 지원 도구와 관련하여 기술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거나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함.-개인 정보나 학습 데이터 등에 대한 보안을 설정하고, 데이터 손실에 따른 대비책을 마련함.-학생의 정보 기기 소유 여부를 확인하고 소유하지 않은 학생들을 대상으로 대여 방안을 마련함.-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을 확인하고 관련 소양 교육을 실시함.-학생들에게 정보 기기, 도구와 플랫폼 사용 방법에 대한 정보를 안내함.-학습 내용과 관련된 다양한 사안에 대해 정보 윤리 교육을 수시로 실시함.-정보 윤리와 관련하여 학생들의 행동과 태도를 점검하고 피드백을 제공함.-동료 교사들과 블렌디드 러닝 실행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 평가 방법, 상호작용 방법 등에 대해 주기적으로 논의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