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자 | ⦁ 학습 설계를 위한 과제, 학습자, 인적·물적 자원 분석 | 강정찬, 이상수(2009); 김회수 외(2007); 김희진, 이현구(2011); 남창우, 이민효(2021); 민재윤, 김민(2021), 정한호 외(2020); Singh & Reed(2001) |
⦁ 온라인 및 오프라인 각 환경의 장점을 활용한 학습 설계 | 강정찬, 이상수(2009); 김희진, 이현구(2011); 박미현, 허균(2020), 이상수(2007); 홍선주 외(2020); 홍효정, 이재경(2016); Graham et al.(2019) |
⦁ 교육적 목적에 따른 온라인 및 오프라인 교수학습 방법의 혼합 | 강민석, 김명랑(2014); 임정훈(2004); 전병호, 김용(2017); 홍선주 외(2020); 홍효정, 이재경(2016); Boelens et al.(2017) |
촉진자 | ⦁ 교육 주체 간 상호작용 활성화 | 박미현, 허균(2020); 오영범(2020); 임병노(2005); 임정훈(2004); 주영주, 김서령(2006); 홍선주 외(2020); 홍효정, 이재경(2016); Boelens et al.(2017); Borup et al.(2014); Graham et al.(2019); Powell et al.(2014) |
⦁ 학습의 주도권을 학생으로 이양 | 김회수 외(2007); Boelens et al. (2017); Lam & Lawrence(2010) |
평가자 | ⦁ 학습 상태 진단 및 모니터링 및피드백 제공 | 권성연(2020); 강민석, 김명랑(2014); 강정찬, 이상수(2009); 박미현, 허균(2020); 홍선주, 외(2020); Amro & Borup(2019); Borup et al.(2019); Goodyear et al.(2001); Lai et al.(2016) |
⦁ 학습 데이터의 활용 | 주영주, 김서령(2006); 홍선주 외(2018); 홍선주 외(2020); Goodyear et al.(2001); Graham et al.(2019) |
지원자 | ⦁ 테크놀로지의 효율적 활용 및 활용 상의 문제 해결 | 권성연(2020); 김회수 외(2007); 강민석, 김명랑(2014); 김주영, 박정환(2020); 오영범(2020); 주영주, 김서령(2006); 정진욱 외(2020); 정한호 외(2020); 홍선주 외(2018); Amro & Borup(2019); Goodyear et al.(2001); Graham et al.(2019); Lam & Lawrence(2010); Powell et al.(2014) |
⦁ 정보 윤리 교육 | 민재윤, 김민(2021); 정한호 외(20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