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목표 | ∘ 목표의 내용은 적절하나 ‘지속가능성 역량’이라는 개념 및 표현 생소∘ ‘공동체 의식’과 ‘세대 간 형평성’을 제시하는 것에 대한 적절성 | ∘ 목표의 진술에 이미 지속가능성 역량의 의미를 담고 있어, 생소함을 해결하고 표현의 간결성을 높이고자 ‘지속가능성’ 삭제∘ ‘세대 간 형평성’은 지속가능성 및 지속가능발전교육의 핵심 지향점이므로 미반영∘ 이미 다른 표현들에서 전제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 ‘공동체 의식’ 삭제 |
학교 급별 목표 | 중 학교 | ∘ 중학교 목표에 제시된 ‘통합적 이해’와 고등학교 목표에 제시된 ‘상호 관련성을 이해’의 차이점 모호∘ 초등학교급의 ‘기초 능력’과 중학교급의 ‘기본 능력’의 차이 불명확 | ∘ 학교급 간 위계성 및 차이를 제고하는 방향으로 수정∘ 학교급 간 위계성 및 차이를 제고하는 방향으로 수정 |
고등 학교 | ∘ 전 지구적 관점 외 개인적, 지역적, 국가적 관점 추가 필요∘ ‘지속가능성 시민’에 대한 표현 재고 필요∘ 고등학교 목표 진술의 과도함 문제 | ∘ 전 지구적 관점 이전에 개인적, 지역적, 국가적 관점을 전제한다고 판단∘ ‘지속가능성’ 삭제∘ 간결성을 제고하는 방향으로 수정 |
대영역(안) | ∘ 사회, 경제, 환경이라는 세 영역 구분은 지속가능발전이 가지는 통합성을 파악·접근하는 데 한계 존재∘ 맨 앞에 대단원 하나를 추가함으로써, 지속가능성의 의도와 환경, 사회, 경제 측면에서 함께 성장하고자 한다는 점 등 추가 필요 | ∘ 지속가능발전이 지니는 통합성을 명시적으로 드러낼 수 있도록 대단원 추가∘ 반영하여 대단원 추가 |
중 영 역 (안) | Ⅰ | 2 | ∘ 자원 ‘순환’이 이미 생산된 것들을 잘 순환시키는( 업사이클링) 의미로 보일 여지 | ∘ 자연자원과 생태계의 보전과 지속가능성이 드러나도록 중영역명 수정 |
3 | ∘ 주요 내용 요소를 보면 지속가능한 도시와 촌락을 모두 다루는데, 중영역 제목에서 도시만 언급 | ∘ 지속가능한 지역사회에 초점을 맞춰 도·농 구분 접근 폐기 |
Ⅱ | 1~3 | ∘ Ⅱ에서 다루고 있는 많은 부분이 다문화교육, 인권교육 혹은 사회과에서 학습 | ∘ 내용 요소간 중복성 문제까지 함께 해결하고자 Ⅱ의 중영역 편성을 4개→3개 축소 |
4 | ∘ 학생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주제부터 제시한다는 의미(구체→추상)에서 Ⅱ장의 순서를 4-2-3-1로 변경 | ∘ 반영하여 ‘건강과 행복한 삶’을 제일 처음 배치∘ Ⅱ의 중영역 편성을 4개→3개 축소하면서 일부 반영 |
Ⅲ | 2 | ∘ ‘기업 윤리’ 중영역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더 적절 | ∘ 주요 내용 요소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 관련 내용 반영 |
3 | ∘ ‘빈부 격차 완화’는 내용상 차이 존재. (대안) 경제 불평등의 완화 | ∘ ‘빈부 격차 완화’ → ‘경제 불평등의 완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