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3 | 초6(표집 1%)중3(표집 1%)고1(표집 1%) | 국어, 사회, 수학, 과학, 영어 | <원점수 → 척도점수 변환 방법>아크사인(arcsine) 변환<척도점수 범위>초6 (점수 범위 130∼190, 증분 1)중3 (점수 범위 230∼290, 증분 1)고1 (점수 범위 330∼390, 증분 1) | • 비교적 간단한 변환 방식을 사용하여 일반인들의 이해가 쉬움• 점수대별 조건적 측정오차 크기를 동일하게 유지• 원점수의 구분점에 비해 척도점수의 구분점이 적음• 학교급별(초·중·고) 척도점수 범위가 차별적으로 설정되어 있어 학년 간 비교 해석 가능하다는 오해 발생 |
2010 | 초6 (전수)중3 (전수)고1 (전수) | 국어, 수학, 영어(초6・중3 : 국어, 사회, 수학, 과학, 영어) | <원점수 → 척도점수 변환 방법>아크사인(arcsine) 변환<척도점수 범위>초6 (점수 범위 100∼300, 증분 1)중3 (점수 범위 100∼300, 증분 1)고2 (점수 범위 100∼300, 증분 1) | • 비교적 간단한 변환 방식을 사용하여 일반인들의 이해가 쉬움• 점수대별 조건적 측정오차 크기를 동일하게 유지• 척도점수의 구분점 개수를 61점 → 201점으로 확장함으로써 각 성취수준을 판별하는 분할점수의 간격을 넓힘• 학교급초·중·고) 구분 없이 척도점수 범위를 동일하도록 개선하여 학년 간 비교 가능한 척도로 오해하기 쉬운 문제 해소 |
2015 | 중3 (전수)고2 (전수) | 국어, 수학, 영어(중3: 국어, 사회, 수학, 과학, 영어) | <원점수 → 척도점수 변환 방법>문항반응이론 진점수 변환<척도점수 범위>중3 (점수 범위 50∼350, 증분 1)고2 (점수 범위 50∼350, 증분 1) | • PISA, TIMSS, NAEP 등 해외 대규모 평가에서도 자주 활용하고 있는 변환 방식으로, 아크사인 변환 같은 전통적인 방식보다 수리적으로 정교한 척도화 방법임• 검사 길이(문항 수)가 감축되는 상황에서 학생의 성취도를 측정하는 경우에도 영향을 덜 받음.• 척도점수의 구분점 개수를 201점 → 301점으로 추가적으로 확장함으로써 각 성취수준을 판별하는 분할점수의 간격을 더욱 넓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