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8 디지털 리터러시 태도의 자기효능감에 대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디지털 리터러시 태도의 자기효능감 | 모형1 | 모형2 | 모형3 |
B | β | t | B | β | t | B | β | t |
학생 특성 (1단계) | (상수) | 2.057 | | 66.356*** | .969 | | 20.868*** | .240 | | 4.381*** |
독서활동 | .215 | .197 | 19.620*** | .093 | .085 | 8.507*** | .083 | .075 | 7.871*** |
현재성적 | .210 | .249 | 23.386*** | .129 | .153 | 14.641*** | .107 | .128 | 12.386*** |
공부시간 | .102 | .152 | 13.947*** | .048 | .071 | 6.649*** | .046 | .068 | 6.623*** |
학습 심리적 특성 (2단계) | 학습 동기 | 외재적 동기 | | | | .003 | .003 | .288 | .017 | .015 | 1.669 |
내재적 동기 | | | | -.021 | -.024 | -2.076* | -.034 | -.039 | -3.386** |
학습 전략 | 정교화 | | | | .036 | .039 | 2.955** | .014 | .016 | 1.244 |
조직화 | | | | .077 | .090 | 7.330*** | .045 | .053 | 4.387*** |
자기 주도 학습 | 주도성 및 창의성 | | | | .284 | .261 | 20.356*** | .251 | .231 | 18.752*** |
학습자 자기이해 | | | | .136 | .120 | 9.704*** | .086 | .076 | 6.298*** |
학업 스트레스 | | | | -.005 | -.006 | -.574 | -.004 | -.005 | -.478 |
창의적 교육활동 (3단계) | 수업 태도 | | | | | | | .105 | .102 | 8.484*** |
교사 수업 진행 | | | | | | | .023 | .019 | 1.456 |
수업 중 평가 | | | | | | | -.033 | -.028 | -2.182* |
학생중심수업 | | | | | | | .036 | .030 | 2.239* |
협동수업 | | | | | | | .022 | .021 | 1.786 |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경험 | | | | | | | .202 | .200 | 20.412*** |
ΔF(p) | 728.283*** | 244.499*** | 133.008*** |
ΔR2 | .197 | .130 | .056 |
N=8,884, Durbin-Watson = 1.963,
p<.05
p<.01
p<.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