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수준변수 | 사회경제적 지위 | 부, 모 각각의 학력: ‘1=중졸, 2=고졸, 3=대졸, 4=대학원졸, 5=잘모르겠다’로 측정(단, 5로 응답한 결과는 결측 처리)가정 내 책 보유 권수: 집에 책이 몇 권 정도 있습니까?(잡지, 신문, 교과서, 참고서는 제외합니다.)에 대해 ‘1=0~10권, 2=11~25권, 3=26~100권, 4=101~200권, 5=200권보다 많음’으로 측정*세 측정값의 합성지수로 변수 설정 |
성별 | 남학생을 준거집단으로 하여 설정한 더미변수 |
전자기기 사용 정도(학습) | 하루 평균 컴퓨터, 휴대용 전자기기 사용 정도-학습(온라인학습지, 인터넷 강의 등) 및 시사 검색(최신 뉴스, 정보 등 관심 주제 검색)에 사용한 시간 각각을 ‘0=사용 하지 않음, 1=1시간 미만, 2=1시간 이상~2시간 미만, 3=2시간 이상~3시간 미만, 4=3시간 이상’으로 측정*두 측정값의 합성지수로 설정 |
전자기기 사용 정도(오락) | 하루 평균 컴퓨터, 휴대용 전자기기 사용 정도-의사소통(채팅, 소셜네트워크 등) 및 여가(게임, 음악 등)에 사용한 시간 각각을 ‘0=사용 하지 않음, 1=1시간 미만, 2=1시간 이상~2시간 미만, 3=2시간 이상~3시간 미만, 4=3시간 이상’으로 측정*두 측정값의 합성지수로 설정 |
학생수준변수 | 사교육 참여 시간 | 사설 기관에서 제공하는 학습지나 강의 참여 수학 시간으로 ‘0=참여하지 않음, 1=1시간 미만, 2=1시간 이상~2시간 미만, 3=2시간 이상~3시간 미만, 4=3시간 이상’으로 측정한 값 |
EBS 수강 시간 | EBS 교육방송이나 교육청 등에서 제공한 인터넷 강의 시청 수학 시간으로 ‘0=참여하지 않음, 1=1시간 미만, 2=1시간 이상~2시간 미만, 3=2시간 이상~3시간 미만, 4=3시간 이상’으로 측정한 값 |
방과후학교 참여 시간 |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참여 수학 시간으로 ‘0=참여하지 않음, 1=1시간 미만, 2=1시간 이상~2시간 미만, 3=2시간 이상~3시간 미만, 4=3시간 이상’으로 측정한 값 |
수업 태도 | 1) 나는 수업에 필요한 학습 자료, 준비물 등을 잘 챙긴다2) 나는 수업 시간에 집중하는 편이다3) 나는 수업에서 배울 내용을 미리 예습한다4) 나는 수업에서 배운 내용을 복습한다5) 나는 수업 내용과 관련하여 선생님께 질문을 잘 하는 편이다6) 나는 수업 시간에 토론, 모둠 활동, 실험・실습 등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6개 문항 각각 ‘1=전혀 그렇지 않다, 2=그렇지 않다, 3=그렇다, 4=매우 그렇다’로 측정*6개 측정값의 합성지수로 변수 설정 |
교사와의 관계 | 1) 우리 학교에는 나를 인정해 주는 선생님이 계신다2) 우리 학교에는 나에게 관심을 갖고 따뜻하게 대해 주는 선생님이 계신다2개 문항 각각 ‘1=전혀 그렇지 않다, 2=그렇지 않다, 3=그렇다, 4=매우 그렇다’로 측정*2개 측정값의 합성지수로 변수 설정 |
교우관계 | 1) 나는 학교에서 친구들과 잘 어울려 지낸다2) 나는 학교에 속마음을 이야기할 수 있는 친구가 있다3) 내 친구들은 내가 도움이 필요할 때 나를 도와준다3개 문항 각각 ‘1=전혀 그렇지 않다, 2=그렇지 않다, 3=그렇다, 4=매우 그렇다’로 측정*3개 측정값의 합성지수로 변수 설정 |
학교수준변수 | 학교평균 SES | 학생 수준에서 측정한 SES의 학교별 평균값 |
학부모 학교 참여 수준 | 1) 자녀의 학업성취도 향상을 위한 학부모의 요구2) 자녀의 학업성취에 대한 학부모의 지원3) 학교 교육 활동 및 행사에 대한 참여 및 지원 정도에 대해‘1=매우 낮다, 2=낮다, 3=높다, 4=매우 높다’로 학교 수준에서 응답한 값*3개 응답값의 합성지수로 변수 설정 |
학교 소재지 | 대도시, 중소도시, 읍면지역으로 분류된 소재지에 대해 읍면지역을 준거집단으로 하는 변수 설정 |
학교 유형 | 일반고 공립, 일반고 사립, 자율형 공립, 자율형 사립으로 분류된 학교 유형에 대해 일반고 공립을 준거집단으로 하는 변수 설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