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8 토의 활동 사례(2)

활동 예비 교사 내용
질문 C 귀납주의의 한계는 무엇이고, 귀납법의 예시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응답 A 귀납주의의 한계에는 관찰의 이론의존성이 있다. 그 예시로는 토끼오리그림을 들 수 있다. 관찰은 사람마다의 이론에 의해 관찰 결과가 달라진다.
응답 B 관찰의 이론의존성이 귀납법의 한계라는 데 동의한다. 과학 탐구에서 관찰을 활용하는 경우는 모두 이론의존성이라는 한계를 인식해야 할 것이다.
재질문 C 동양에서는 달에 토끼와 절구가 있다고 생각하였다. 서양에서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았다. 이러한 차이는 무엇에 기인하는가?
응답 B 서로의 문화가 다르기 때문에 그런 부분이 사람들의 관찰 혹은 인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런 예시도 관찰의 이론의존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응답 D 귀납추론의 내적 불완전성도 고려해야 한다. 지금까지 본 까마귀들은 검은색이어서 모든 까마귀는 검은색이라고 생각한다는 것은 논리적인 비약이다.
응답 B 또 흄의 문제를 이야기할 수 있다. 귀납은 귀납을 통해서만 정당화가 되기 때문에 결국은 관찰 결과를 검증하려면 또다시 귀납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결국 귀납의 무한 굴레에 빠지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론 A, B, C, D 조원들과의 토의를 통해 귀납주의의 한계점에 대해 알게 되었고, 귀납적 추론을 사용할 때는 이 한계점들을 인식해야 한다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