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7 토의 활동 사례(1)

활동 예비 교사 내용
질문 F 논리적 동치를 적용한 사례는 무엇일까?
응답 E ‘자유가 아니면 죽음을 달라’에서 ‘자유를 준다’와 ‘죽음을 준다’를 각각 p와 q로 기호화하면 p∨q와 ‘자유를 주지 않으면 죽음을 준다’에 해당하는 ~p→q는 어떻게 해석되더라도 같은 진리값을 갖는다.
응답 G ‘하루는 24시간이거나, 1시간은 60분이고 60분이 아니다’에서 ‘1시간은 60분이고 60분이 아니다’라는 명제가 참이려면 하루가 24시간이라는 전반부 내용이 참이라야 한다. (후략)
응답 H 내가 너를 사랑한다(p), 네가 나를 사랑한다(q), 우리는 연인이 될 것이다(r)에 대하여 ‘내가 너를 사랑하고 네가 나를 사랑한다면 우리는 연인이 될 것이다’(p∧q)→r와 ‘내가 너를 사랑할 때 네가 나를 사랑한다면 우리는 연인이 될 것이다p→(q→r)는 수출입규칙에 의하여 논리적으로 동치이다.
응답 F 친구인 철수와 영희는 취미모임을 만들기 위하여 네 종류의 운동 중 두 가지만 고르기로 했다. (중략) 드모르간 법칙4을 이용해 각각의 부정의 연언기호는 전체 논리합의 부정과 같다.
응답 G 동치의 예시가 생각보다 많아서 논리적으로 분석하면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응답 E 논리적 동치에 대해 학습한 내용을 다양한 예시에 적용해보면 그 뜻을 더 정확히 알 수 있다.
응답 G 예시를 찾는 것보다 직접 예시를 만들어보는 것이 논리적 동치를 이해하기 좋은 것 같다. 근데 말로 하면 당연한 것으로 생각되는데, 논리적 기호로 표기할 때는 어려움이 있었다. 논리적 언어의 중요성을 이해하게 되는 질문이었다.
결론 E, F, G, H 논리적 동치는 실생활 속에 다양한 사례들에서 나타나고, 이것을 논리적인 기호로 다시 설명하는 과정이 필요한 것 같다. 글의 정확한 해석이나 이해를 쉽게 유도할 수 있도록 다양한 상황에서의 논리적 동치를 이해하면 좋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