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2 영어 교과 역량 관련 주요 쟁점: 1차 델파이 조사 결과 (단위: 명(%), 점)

쟁점 및 개선 방향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보통 이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 M SD CVR
1) 영어과의 특성 및 미래 사회 변화를 고려하여 영어 교과 역량이 타당하게 선정되었는지, 역량의 명칭이 적절한지에 대한 점검 및 개선 0 (0.00) 2 (10.00) 1 (5.00) 10 (50.00) 7 (35.00) 20 (100.00) 4.10 0.89 0.70
2) 영어과의 특성 및 미래 사회 변화를 고려하여 각 역량의 개념과 하위 요소가 타당하고 적절하게 제시되었는지에 대한 점검 및 개선 0 (0.00) 0 (0.00) 4 (20.00) 7 (35.00) 9 (45.00) 20 (100.00) 4.25 0.77 0.60
3) 영어 교과 역량의 개념을 명확하게 하고, 현장에서 실행하는 데 실질적인 도움이 되도록 상세하고 충분한 설명 제공 1 (5.00) 0 (0.00) 4 (20.00) 5 (25.00) 10 (50.00) 20 (100.00) 4.15 1.06 0.50
4) 영어 교과 역량 및 성취기준과의 연계를 고려한 각 목표의 내용 점검 및 개선 0 (0.00) 1 (5.00) 0 (0.00) 7 (35.00) 12 (60.00) 20 (100.00) 4.50 0.74 0.90
5) 영어 교과 역량과 성취기준이 연계되도록 성취기준 개선2) 1 (5.00) 1 (5.00) 1 (5.00) 5 (25.00) 12 (60.00) 20 (100.00) 4.30 1.10 0.70
6) 영어 교과 역량 함양을 위한 교수·학습 및 평가의 방향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 제시 3 (15.00) 2 (10.00) 2 (10.00) 6 (30.00) 7 (35.00) 20 (100.00) 3.60 1.43 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