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2 연구에 포함된 변수, 척도, 신뢰도 계수

구분 변수 문항 척도 신뢰도
종속변수 학교수준 수학점수 3 각 연도별 수학 학교점수(max=180.94, min=123.13) .85
학생수준 수학점수 3 각 연도별 학생 수학 척도점수(max=195, min=100) .85
학교수준 독립변수 학교장 리더십 4 학교장의 수업 장학활동 .91
기초수급대상자수 1 교육비 및 교육급여 대상자 숫자 -
교사풍토 6 교사의 노력정도(1=매우 낮다, 4=매우 높다) .88
교직인식 4 교직에 대한 헌신, 만족도 등(1=전혀 그렇지 않다, 4=매우그렇다) .81
수업활동 10 수학과목의 교육방법, 학생동기유발 등(1=전혀 그렇지 않다, 4=매우 그렇다) .90
원격수업 중요도 6 1=전혀 중요하지 않음, 4=매우 중요함 .92
학교수준 독립변수 학교장 리더십 4 학교장의 수업 장학활동 .91
기초수급대상자수 1 교육비 및 교육급여 대상자 숫자 -
교사풍토 6 교사의 노력정도(1=매우 낮다, 4=매우 높다) .88
교직인식 4 교직에 대한 헌신, 만족도 등(1=전혀 그렇지 않다, 4=매우그렇다) .81
수업활동 10 수학과목의 교육방법, 학생동기유발 등(1=전혀 그렇지 않다, 4=매우 그렇다) .90
원격수업 중요도 6 1=전혀 중요하지 않음, 4=매우 중요함 .92
원격수업 준비도 6 1=매우 부족함, 4=매우 충분함 .89
학생수준 독립변수 부모와 관계 3 부모와 학업에 관한 대화 정도(1=거의 안함, 4=거의 매일) .71
교육자본 2 가정의 도서보유량, 학업적 분위기(1=거의 없음, 5=200권 이상) .72
교사와의 관계 7 교사와 촉진적 상호작용(1=전혀 그렇지 않다, 4=매우 그렇다) .89
수학가치인식 6 수학의 중요성, 활용성 등 인식(1=전혀 그렇지 않다, 4=매우 그렇다) .88
학습활동 4 수학의 공부를 수행하는 정도(1=전혀 그렇지 않다, 4=매우 그렇다) .90
학원수강 정도 3 과목별 수강(1=참여하지 않음, 5=3시간 이상) .82
EBS수업 시청정도 3 과목별 시청시간(1=전혀 안함, 5=3시간 이상) .87
학교원격수업도움 (2020년도) 12 1=경험 없음, 5=매우 도움이 됨 .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