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9 CF 영역 항목의 개발을 위한 교육과정적 아이디어들의 내용타당도 조사

구분 전혀 필요 하지 않음 필요하지 않은 편 보통 필요한 편 매우 필요함 합계 평균 (표준편차) CVR
1) 각론을 규율하는 최소한의 공통 원리와 교과별 원리를 명확하게 제시 1 (2.9) 0 (0) 1 (2.9) 7 (20) 26 (74.3) 35 (100) 4.63 (0.796) 0.886
2) 각론 구성 장의 각 절은 학교급별로 제시 1 (2.9) 0 (0) 1 (2.9) 6 (17.1) 27 (77.1) 35 (100) 4.66 (0.791) 0.886
3) 누리과정(유치원)을 포함하여 유·초·중·고를 일관되게 체계화 1 (2.9) 1 (2.9) 2 (5.7) 5 (14.3) 26 (74.3) 35 (100) 4.54 (0.936) 0.771
4) 대안학교 등에 해당하는 ‘그 밖의 학교’ 절을 두어 좀 더 융통성 있게 학교 교육과정을 편성·운영하도록 허용 1 (2.9) 1 (2.9) 2 (5.7) 13 (37.1) 18 (51.4) 35 (100) 4.31 (0.919) 0.771
5) 특수학교는 별도의 문서로 개발 1 (2.9) 1 (2.9) 1 (2.9) 12 (34.3) 20 (57.1) 35 (100) 4.40 (0.901) 0.829
6) 편제와 시간 배당 기준을 제시 0 (0) 0 (0) 3 (8.6) 5 (14.3) 27 (77.1) 35 (100) 4.69 (0.622) 0.829
7) 단위학교의 교육과정 편성·운영 자율성을 확대·강화 0 (0) 0 (0) 3 (8.6) 8 (22.9) 24 (68.6) 35 (100) 4.60 (0.641) 0.829
8) 학교급별로 과학적 연구 성과에 기반한 학습자 특성을 제시 0 (0) 1 (2.9) 1 (2.9) 16 (45.7) 17 (48.6) 35 (100) 4.40 (0.685) 0.886
9) 유·초등에서는 건전한 자아 정체성을 확립하고 특기와 적성을 발견하는 데 주력 0 (0) 1 (2.9) 2 (5.7) 13 (37.1) 19 (54.3) 35 (100) 4.43 (0.728) 0.829
10) 학습자의 발달적 특성에 적합한 진로지도를 학교급별로 일관되고 체계적으로 시행 0 (0) 0 (0) 2 (5.7) 6 (17.1) 27 (77.1) 35 (100) 4.71 (0.564) 0.886
11) 중학교에서는 완결형 진로지도(1차 직업 선택)를 수행 1 (2.9) 1 (2.9) 2 (5.7) 11 (31.4) 20 (57.1) 35 (100) 4.37 (0.928) 0.771
12) 고교에서는 진로별 교과목 이수 지침을 제시 0 (0) 0 (0) 0 (0) 8 (22.9) 27 (77.1) 35 (100) 4.77 (0.420)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