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1 교육과정의 전문교과의 변천

구분 6차 교육과정 (1992) 7차 교육과정 (1997) 2009 개정 교육과정 (2011년 수시 개정) 2015 개정 교육과정 (2015)
특수 목적고 대상 전문교과의 구조와 특징 교과목 구조 및 명칭 • 고등학교 교과목은 보통교과와 전문교과로 구분• 전문교과에 직업계고와 특수 목적고 과목을 함께 제시 • 보통교과와 전문교과의 기본 구조 유지 • 보통교과와 전문교과 기본 구조 유지. 단, 특수 목적고의 전문교과를 보통교과로 이동하여 ‘심화 과목’으로 제시• 전문교과는 직업고 대상 과목으로 한정 • 보통교과와 전문교과 기본 구조 유지. 단, 보통교과의 ‘심화 과목’을 다시 전문교과로 이동• 전문교과를 특수 목적고 대상의 ‘전문교과I’과목과 특성화고 대상의 ‘전문교과II’ 과목으로 구분
전문 교과의 계열 구성 • 특수 목적고 대상 전문교과는 총 4개 교과로 구성- 과학, 체육, 예술, 외국어에 관한 교과 • 특수 목적고 대상 전문교과 총 5개 교과로 수정- 국제에 관한 교과 추가 • 보통교과의 ‘교과(군)’에 따라 기존의 특수목적고 대상이었던 전문교과 과목을 배치함 • 전문교과I 과목을 총 5개 계열로 구분하여 제시- 과학 계열- 체육 계열- 예술 계열- 외국어 계열- 국제 계열
특수 목적고 대상 전문교과 과목의 이수 지침 전문교과 총 이수 단위 특수 목적고 • 전문교과 과목 82단위 이상 • 전문교과 과목 82단위 이상 • 보통교과의 심화 과목 80단위 이상 • 전문교과I 과목을 72단위 이상
일반고 - • 체육, 음악, 미술 교과의 심화선택 과목은 체육, 예술에 관한 전문교과 과목에서 선택 • 보통교과(기본과목, 일반과목, 심화과목) 중심으로 개설 • 필요에 따라 전문교과I 과목 개설 가능
전문교과 과목별 이수 단위 • 과학, 체육, 예술에 관한 과목의 이수단위는 시·도에서 정함.• 외국어에 관한 교과는 8단위 • 과목의 이수 단위는 시·도에서 정함.• 외국어와 국제 관한 교과는 8단위 이하로 제한 • 심화 과목의 이수 단위는 시·도 교육감이 정함 • 전문교과I 과목의 이수 단위는 시·도 교육감이 정함
필수 이수 과목 여부 • 계열별 필수 이수 과목 제시 • 계열별 필수 이수 과목 제시 • 필수 과목 지침 생략 • 필수 과목 지침 생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