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낯선 공간? 과거와 미래 사이의 이전 제국 | 10-23 |
| 2. 러시아 – 변화하는 제국 | 24-53 |
⓪ | 3. 중국 – 변화하는 제국도입: 10월 1일 중화인민공화국 국경절의 '천안문 광장의 열병식' | 54-55 |
⓪ | 중국 상식: 지배형태, 대외관계, 민족 구성, 유교, 유럽과의 관계, 연대표 | 56-57 |
① | '세계의 중심 제국'은 어떻게 생겨났나?: 다민족 제국, 고대 문명, 문자, 진시황 | 58-59 |
① | 황제의 권력은 어디까지 미쳤나?: 세계의 중심이라는 중국의 자기상, 한국의 천하도(天下圖), 유교적 국가질서, 중앙집권적 통치 지향 | 60-61 |
② | 서쪽으로의 창: 개방과 쇄국의 기로 I - 정화는 예외적 사안인가?: 비단길, 해상 무역, 정화의 대항해 | 62-63 |
② | 서쪽으로의 창: 유럽이 인도양을 지배하다: 포르투갈의 항로 개척, 에스파냐와의 경쟁 | 64-65 |
③ | 개방과 쇄국의 기로 II - 중국은 왜 자유 무역을 반대했나?: 조공 외교, 제한적 무역, 영국 사절단(1792/93)의 평등 조약 미성사 귀환 | 66-67 |
③ | 서쪽으로의 창: 비공식적 제국주의는 중국의 경우에 해당되나?: 제1차 아편전쟁(1839-1842), 불평등 강화 조약, 제2차 아편전쟁(1856-1860), 청일전쟁(1894-95), 독일의 칭다오 무단 점령(1898), 이후 영국, 러시아, 프랑스 등 유럽 제국주의 세력의 중국 점령, 미국의 개방 정책 | 68-71 |
③ | 야만인으로부터 배운다?: 태평천국운동(-1864), 이홍장의 양무운동, 변법자강운동(1898) | 72-73 |
③ | 스스로 탐구하기: 의화단 운동 – 지금도 유효해?!: 의화단 운동(1900/01)의 원인과 전개, 국치의 사건(역사가 Zhuang, 1992) | 74-75 |
③ | 공화국은 국민국가인가?: 한족 민족주의의 대두, 신해혁명(1911), 국민당과 공산당, 중일전쟁(1937) | 76-77 |
④ | 초기의 인민공화국 – 성공신화?: 공산당의 승리, 마오이즘, '대약진 운동'(1957) | 78-79 |
④ | 권력 쟁취 혹은 권력 다지기?: 인격숭배, 문화대혁명, 홍위병, 붉은 책(마오쩌둥의 어록) | 80-81 |
⑤ | 덩샤오핑 이후의 노선 변경?: 덩샤오핑과 시장경제 도입, 개혁·개방 정책, 대자보 운동(1978-79), 톈안먼 사건 | 82-85 |
⑥ | ‘중국몽(中國夢)’은 어디로 향하는가?: 중국의 정치 체제, 일당 독재, 재교육, 시진핑의 '중국몽' | 86-87 |
⑦ | 알고 있어 – 할 수 있어! 역사적 관점에서 중국의 사회 문제 판단하기: 인민 민주주의와 자유권, 55개 소수민족, 외교적 갈등, 경제 정책 | 88-89 |
| 4. 오스만 제국에서 현대의 터키로 | 90-123 |
| 5. 이전의 제국들과 유럽의 통합 비교하기 | 124-13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