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1 매체효과 관련 선행 연구 요약

연구 단계 주요 내용
연구 설계 • 무선집단 설계, 공통문항 설계, 혼합 설계
분석 방법 문항 수준 • 문항의 정답률, 난이도, 변별도 분석• MH-DIF 분석• 시행 매체별 문항 난이도 순서를 비교하여 측정동일성 확인
성취도(점수) • 확인적 요인분석을 이용한 구인동등성 확인
소집단 수준 • 인종, 성별, 모국어 등에 따라 소집단을 나누고 하위집단 별로 성취도 평균점수 비교• 소집단 특성 변수와 시행방식 간 상호작용 효과를 회귀분석 또는 ANOVA 분석에 투입하여 집단별 매체효과 차이 확인
연구 결과 문항 수준 • CBT보다 PBT의 정답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 (ACT 결과 예외)• 문항들의 정답률(난이도) 순서는 PBT와 CBT 각각에서 동일하게 나타남
성취도(점수) • 대부분의 연구에서 CBT 보다는 PBT에서 성취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ACT와 SAT의 연구에서는 CBT의 성취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기도 함
소집단 수준 • 검사 및 피험자 특성에 따라 다양한 양상이 나타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