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11 중학교 정치 영역 성취기준 수정(안)

현행 [9사(일사)03-01] 정치의 의미와 기능을 이해하고, 정치 생활에서 국가와 시민이 수행하는 역할을 탐구한다.[9사(일사)03-02] 민주 정치의 발전 과정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민주주의의 이념과 민주 정치의 기본 원리를 도출한다.[9사(일사)03-03] 민주주의를 구현하기 위한 정치 제도를 정부 형태(의원 내각제, 대통령제) 중심으로 탐구한다.
수정(안) 내용 요소 교과 역량 및 기능
[9사(일사)03-01] 정치의 의미와 기능, 정치 생활[9사(일사)03-02] 민주 정치의 발전 과정, 민주 정치의 이념, 민주 정치의 기본 원리[9사(일사)03-03] 의원 내각제, 대통령제, 우리나라 정부 형태 [정보 활용 능력] (다양한 자료나 사례를) 조사ㆍ분석하고 비교할 수 있다.[사회과학 탐구력] (자료) 분석을 통해 (민주주의 이념과 민주 정치의 원리를) 도출할 수 있다.[의사소통 및 협업 능력] (정치적 쟁점에 대한 자료를 바탕으로 자신의 의견을) 주장할 수 있다.
출처: 주형미 외, 2021, p. 2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