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6 균형 잡힌 k-선택지 판별 알고리즘

[균형 잡힌 k-선택지 판별 알고리즘]
k-선택지는 논리값 {b11b12...b1m, b21 b22...b2m, ... bk1 bk2 ...bkm}의 집합으로 다음과 같은 조건을 만족하면 균형 잡힌 k-선택지이다.
[1] 집합의 원소로 논리값 00⋯0은 존재하지 않는다.
[2] {1, 2,...,m}에서 s(=⌈log2 (k+1)⌉)개를 택하여 순열 [t1, t2, ⋯, ts],sm을 생성한다.
[2.1] {b11 b12b1m,b21 b22b2m,⋯ bk1 bk2bkm}에서 t1째 비트가 ‘0’인 원소와‘1’인 원소로 집합을 분할하고, 분리된 집합의 원소의 개수차는 1을 넘지 않아야 한다.
 [2.2] i ← 2
 [2.3] 분리된 모든 집합 각각에 대해서 ti번째 비트가‘0인 원소와 ‘1’인 원소로 각각 분할하고, 분리된 집합의 원소의 개수차는 1을 넘지 않아야 한다.
 [2.4] ii+1
 [2.5] i = s까지 [2.3] - [2.4]를 반복한다. i = s+1이면 [3]을 수행한다.
[3] 서로 다른 순열 mPs개를 만들고, 이 모든 순열에 대해 [2.1] - [2.5]를 반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