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학형 문항: 부분적 지식이 존재하지 않는다. 정답을 모르면 무조건 찍기만으로 정답을 맞힐 수 있다. |
• 사회형 문항: k개의 선택지에서 k-2개 이하의 선택지에 대해 ’그른 답‘만 아는 경우, 정답을 맞히려면 추측이 필요하며 이 경우에만 문항 추측도에 포함된다. |
• 과학형 문항: m개의 보기를 가지는 k개의 선택지에서 ’옳은 보기‘인지 ’그른 보기‘인지를⌊log2 k⌋개 미만을 알 때는 정답을 맞히려면 추측이 필요하고,⌊log2 k⌋개를 알 때도 선택지들의 보기가 어떻게 조합되는가에 따라 추측이 필요하다. 문항 추측도는 이 두 경우만 고려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