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답 감점제: k개의 선택지에서 오답인 경우 1/(k-1)비율로 감점하여, 무조건 찍기로 선택지를 택하면 평균 0점으로 한다. 이는 선택형 문항으로 당락이 결정되는 선발용 시험 등에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IIT(인도공과대학)의 입학시험, 삼성의 직무적성검사가 대표적임 |
• 선택지 확대: m개의 보기를 가지는 합답형에서 선택지를 2m-1개로 확대하여 추측으로 정답을 맞힐 확률을 1/(2m-1)로 한다. 대표적으로 약학대학입문자격시험(PEET)에 사용한다(한국약학교육협의회). |
• 다답형: k개의 선택지에서 모든 ‘옳은 답’을 모두 고르는 방안이다. 이는 OMR카드로 채점하는 경우 문제가 있지만, 추측으로 정답을 맞힐 확률을 1/(2k-1)로 만드는 효과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