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1 분석 변인 설명

구분 변인 변인 설명 및 응답 척도 문항 수
수업의 질의 하위요인 수업분위기* ∘ 국어 수업에서 학생들이 설명하는 것을 듣지 않거나 소란스럽고 무질서한 정도∘ 4점 척도(모든 수업/대부분의 수업/일부 수업/전혀 또는 거의 없음) 5
수업활동 수업도입활동 ∘ 국어 수업에서 학습 목표를 제시, 학생들의 이해도 및 학습 점검, 배울 내용에 대해 설명하는 정도∘ 4점 척도(모든 수업/대부분의 수업/일부 수업/전혀 또는 거의 없음) 4
학습전략촉진 ∘ 학생들의 읽기 이해나 읽기 기술이 발달될 수 있도록 읽은 내용의 주요 주제를 확인, 이해한 것을 설명하고 격려하도록 돕는 등의 활동을 하는 정도∘ 4점 척도(모든 수업/대부분의 수업/일부 수업/전혀 또는 거의 없음) 5
참여유도 ∘ 국어 수업에서 학생들이 텍스트에 관한 자신의 의견을 표현하도록 격려, 적극적인 참여를 돕는 동기 부여 질문 등을 하는 정도∘ 4점 척도(모든 수업/대부분의 수업/일부 수업/전혀 또는 거의 없음) 4
평가활동 수업조정 ∘ 국어 수업에서 학생들의 요구에 맞게 수업 내용을 조정하고, 학생들에게 필요한 개별적인 도움을 제공하는 정도∘ 4점 척도(모든 수업/대부분의 수업/일부 수업/전혀 또는 거의 없음) 4
피드백 ∘ 국어 수업에서 학생들에게 피드백을 제공하고 학습 향상 방법을 제안하는 등의 활동을 하는 정도∘ 4점 척도(모든 수업/대부분의 수업/일부 수업/전혀 또는 거의 없음) 5
예측 요인 교사 요인 교직 만족도 ∘ 교사라는 직업에 대해 만족하는 정도∘ 4점 척도(매우 그렇다/그렇다/그렇지 않다/전혀 그렇지 않다) 4
국어기능 중요성 인식 ∘ 국어 수업에서 독해, 쓰기, 듣기 이해, 화법 기능을 가르치는 것에 대해 중요하게 생각하는 정도∘ 4점 척도(매우 중요함/중요함/약간 중요함/중요하지 않음) 4
전문성 계발 참여 여부 ∘ 전문성 계발 활동에 의무적으로 참여하는지 여부∘ 2점 척도(예=1, 아니오=0) 1
동료교사 교류 ∘ 시험 출제 시 성취기준, 채점기준, 수업 자료, 교수방법 등에 대해 동료 국어 교사들과 정기적인 협력을 하는 정도∘ 4점 척도(매우 동의함/동의함/동의하지 않음/전혀 동의하지 않음) 7
학교 요인 교육자원 ∘ 교사 인력 또는 보조 인력 부족, 교육 자료 부족, 물리적 시설 부족 등으로 인해 학교의 교육 활동에 지장이 있는 정도∘ 4점 척도(전혀 없음/별로 없음/약간 있음/많이 있음) 8
교사 근무행태 ∘ 교사의 결근, 교사의 수업 준비 부족 등으로 인해 학생들의 학습에 지장이 있는 정도∘ 4점 척도(전혀 없음/별로 없음/약간 있음/많이 있음) 5
수준별 수업 여부 ∘ 학생들을 능력에 따라 서로 다른 학급으로 편성하는지 여부∘ 2점 척도(전 과목 또는 일부 과목=1, 해당 과목 없음=0) 1
<주> 역코딩 변수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