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자원 관리와 개인, 집단, 가족, 지역사회의 행복에 영향을 주는 자원 관리의 역할에 대한 지식과 이해 | P1.1 개인의 경험, 가치, 태도, 신념이 삶에 목표 개발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한다.P1.2 자원 문제에 대한 효과적인 해결책을 제안한다. | H1.1 자원 관리가 개인, 집단, 가족, 지역사회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
2. 건강한 관계가 개인, 집단, 가족, 지역사회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것에 대한 지식과 이해 | P2.1 개인이 집단 내에서 채택하는 역할과 개인과 집단 간의 관계를 설명한다.P2.2 개인의 사회화에 있어 가족, 가족 외 집단의 역할을 설명한다.P2.3 개인의 건강한 대인 관계와 성공에 영향을 주는 리더십과 집단의 역동성을 조사한다.P2.4 가족의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내·외부 요인 간의 상호 관계를 분석한다. | H2.1 부모됨, 돌봄의 다양한 유형을 분석한다.H2.2 건강한 관계가 개인, 집단, 가족, 지역사회의 행복에 긍정적 원인이 되는 전략을 평가한다.H2.3 다양한 환경에서 개인의 권리와 책임이 어떻게 행복에 원인이 되는지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
3. 개인, 집단, 가족, 지역사회의 특성과 관련된 다양한 사회 요인의 영향력에 대한 지식과 이해 | P3.1 현대 사회에서 가족, 지역사회의 변화를 설명한다.P3.2 역할과 관계를 정의할 때, 젠더의 중요성을 분석한다. | H3.1 집단 내 개인의 특별한 요구를 발생시키는 사회·문화적 요인을 분석한다.H3.2 지역사회 내에서 개인, 집단, 가족이 이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평가한다.H3.3 다양성을 지원하는 정책과 지역사회 구조의 역할을 비판적으로 분석한다.H3.4 사회, 법률, 기술 변화가 개인, 집단, 가족,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비판적으로 평가한다. |
4. 연구 절차, 분석, 결과 전달의 연구 방법에 대한 지식과 이해 | P4.1 사회적 이슈 연구에 적합한 연구방법론을 사용한다.P4.2 서술, 구술, 그래픽 형식으로 결과를 발표한다. | H4.1 적절하고 타당성 높은 연구방법론을 적용한다.H4.2 아이디어 전달, 토론, 의견을 정당화할 수 있다. |
5. 개인, 집단, 가족, 지역사회의 요구를 충족하기 위한 자원 관리 과정의 적용 | P5.1 자원 사용을 극대화하기 위해 효율적인 자원 관리 과정을 적용한다. | H5.1 개인과 집단이 특정 요구를 충족하고, 자원에 대한 공평한 접근을 보장하기 위한 관리 전략을 제안한다.H5.2 가족, 직장 및 기타 환경에서의 개인의 다양한 역할과 요구를 관리하기 위한 전략을 개발한다. |
6. 비판적 사고에 대한 기술과 수행 능력 웰빙을 촉진하기 위한 책임 있는 행동 | P6.1 행복(웰빙)을 향상시키는 행동을 구분한다.P6.2 의사결정을 강화하기 위해 비판적 사고능력을 사용한다. | H6.1 여성과 남성의 권한 부여가 사회 내에서 그들이 기능하는 방식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한다.H6.2 권리를 보존하고, 책임을 촉진하며, 긍정적인 사회 환경을 조성하는 역할을 확립하는 전략적 계획을 수립한다. |
7. 개인, 집단, 가족, 지역사회의 다양성 및 상호의존성의 가치 인식 | 7.1 지역사회 내 개인, 집단, 가족 간의 차이를 인식하고 사회 내 다양성의 가치를 인식한다.7.2 자신과 타인의 행복에 대한 책임감을 키운다.7.3 변화에 대응한 자원 관리의 가치를 인식한다.7.4 다양한 역할 기대에 대처하기 위한 역할관리의 중요성 에 대한 가치를 인식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