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 • 학생들이 내용을 이해하지 못한 채 자료를 전사하는 경우가 많아서 내용을 이해하고 있는지 수업 중 학생들에게 수시로 질문할 계획 수립 | • 자료의 독창성에 대해서는 점수화하기 보다는 모둠별로 발표할 때 독창성 있는 자료를 찾은 모둠에게 긍정적인 피드백 제공 기회 확대 | • 학생 동료 채점 도입 결과, 관대한 채점, 채점기준 미파악 등의 문제 발생했으나 전반적으로 학생들의 채점기준 이해도 제고됨. 이에 학생들에 의한 동료 채점 기회를 확대하고 최종 성적에는 반영하지 않도록 채점 방식 조정 |
4 | • 달의 모양이 바뀌는 이유에 대해서 대략적으로 이해하는 학생들이 많기 때문에 학생들이 지구의 특정 지점에 있다고 생각하면서 달의 모습을 판단할 수 있는 활동을 추가 | • 서술형 문항에 대해서는 학생들이 짧게 서술하려는 습관이 있어서 서술할 때 자신이 아는 모든 지식을 활용하여 작성할 수 있도록 문항에 단서를 다는 등으로 안내하도록 문항 수정 및 문항 개발 점검표에 항목 추가 | |
5 | • 학생들이 배움과 실생활의 간격을 좁힐 수 있도록 학습한 과학 지식을 실생활에서도 활용할 수 있는 경험을 자주 제공 하도록 수업 예시와 활동 수정 | • 학생들이 논술형 문항에서 무엇을 묻고 있는지 명료하게 알도록 발문 수정 및 문항 개발 점검표에 항목 추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