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업과 평가를 통해 학생에게 기르고자 하는 본질적 목표가 무엇인지 숙고하여 수업과 평가의 목표를 설정한다.• 수업과 평가의 본질적 목표에 따라 교육과정 내용과 성취기준, 학습 목표 등을 분석하여 지식, 기능, 태도를 고르게 평가할 수 있도록 계획한다. 단, 교과 및 단원의 특성을 고려하여 기능 중심의 평가를 할 수도 있다.• 성취기준별 평가기준이나 성취수준을 분석하여 학생들이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수업과 평가를 연계하여 계획하고 필요에 따라 교육과정을 재구성한다.• 역량 중심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역량을 평가할 때는 교육과정에서 교과 역량을 확인하고 교과 역량에 관련 있는 성취기준을 교육과정에서 찾아 성취기준과 역량이 연계될 수 있도록 수업과 평가를 계획한다. 특정 역량과 관련된 성취기준을 찾을 때는 교과 교육과정의 내용체계를 활용한다.• 서·논술형 평가는 단편적 지식 암기를 요구하는데서 벗어나 논리적 사고력, 창의적 사고력, 문제해결력 등의 고등 사고 능력이나 이러한 능력을 통합하거나 복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종합적 사고력을 평가할 수 있도록 계획한다. 특히 논술형 평가는 복합적이거나 종합적 사고력을 평가할 수 있어야 한다.• 교과별 특성 뿐 아니라 수업에 활용할 교수학습 방법(토론형, 협력학습, 프로젝트 학습, 문제해결학습법(PBL) 등)을 고려하여 평가와 수업이 적절하고 일관성 있게 연계되도록 계획한다.• 학습 목표나 성취기준에 대한 도달도를 확인하고 교수학습의 질을 개선하는데 주안점을 두어 평가하고 그 결과를 활용할 수 있는 평가 방법을 선정한다.• 소속 교육청의 서·논술형 평가 반영 기준 등이 포함된 학업성적 관리 지침(평가의 목적, 평가의 방향과 방침, 유의사항 등)을 준수한다.• 교과(학년)협의회에서 평가 시기 및 횟수, 반영 비율, 배점, 채점기준, 평가 시 유의사항, 평가 방법, 채점기준 공지에 관한 사항 등을 평가활동 제반 사항을 협의하여 평가 계획을 수립한다.• 학기별로 수립된 평가 계획은 학기 초에 공지하고, 학생 및 학부모에게 학교 홈페이지, 가정통신문, SNS 등을 활용하여 관련 내용을 적극적으로 안내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