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용 | 교육과정 운영 및 수업 | ◦ 학생들의 교실 생활 및 교실에서의 경험◦ 학생들 간의 교우 관계◦ 학습의 과정에서 일어나는 교사와 학생 간 상호작용◦ 학습의 과정에서 일어나는 학생 간 상호작용 및 협력의 경험◦ 학생들의 선호/비선호 교과◦ 소규모 학교에서 운영이 어려운 수업 형태◦ 설문 조사에서 학습경험이 부족한 교과로 나온 결과에 대한 해석◦ 교육과정 재구성을 위한 교사 재량권에 대한 소규모 학교의 요구 |
환경(교육 및 복무) | 복식학급 | ◦ 복식학급 운영 경험 및 학생의 학습경험에의 영향 정도 |
학습공동체 | ◦ 학습과 관련하여 학생들에게 바라는 점◦ 학생들 간 상호작용을 통한 동료학습을 지원하기 위해 활용하는 방안 |
가정과의 연계 | ◦ 학생들의 가정적 배경이 학습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실태◦ 학생들의 숙제 수행 양상◦ 학부모와의 연락 정도와 학생에 대한 관심◦ 담임 교사로서 학생의 학습에 관련하여 학부모에게 바라는 점 |
지역과의 연계 | ◦ 지역(지역사회, 자연 환경, 사회적 인프라)과의 연계가 학생의 학습경험에 미치는 영향◦ 다른 학교와의 연계(공동 교육과정의 운영 등)가 학생의 학습경험에 미치는 영향 |
복무 환경 | ◦ 소규모 학교의 특성으로 인한 복무환경(통근 거리, 업무량, 동료와의 관계)과 학생의 학습 환경과의 관계 |
효과적인학습경험의 유형 | ◦ 다양한 사고(思考), 문제 해결이나 실천을 위한 정보 습득, 사회적 태도 함양, 흥미 유발의 기회를 제공하는 학습경험의 유형 |
학습경험의질 제고 방향 | ◦ 저출산 등의 사회 변화에 따라 소규모 학교 및 통합학교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상황에서 학생들의 학습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과정 운영 방안◦ 창의적 체험활동 관련 학습경험의 질 제고 방안◦ 농어촌 소규모 초등학교의 장점을 살린 교육과정 운영 방안 및 현장 사례 |
학생용 | 교육과정 운영 및 수업 | ◦ 쉽고 재미있는 과목과 이유◦ 지루하고 어려운 과목과 이유◦ 열심히 해도 성적이 오르지 않는 과목◦ 하고 싶은 공부 및 선호하는 수업 활동◦ 좋아하는 교과◦ 학습한 내용 중 재미있어서 지금도 기억하는 것 |
환경 | 복식학급 | ◦ 복식학급에 대한 인식 |
학습 공동체 | ◦ 나와 다른 학년과의 관계◦ 동료 학습자와의 상호작용 및 협력 |
지역과의 연계 | ◦ 지역에서의 학습에 대한 인식◦ 지역 연계 학습 및 활동에 대한 인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