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3 연도별 평가 전문성 측정도구의 특성

연도 연구자 연구 논문명 측정 척도의 특성
문항 수 척도의 종류
2004 이인제 외 교사의 학생 평가 실태 조사 및 전문성 신장에 대한 요구분석 4 3단 리커트 척도a
2005 김수동 외 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신장 연구(Ⅱ) 90 5단 리커트 척도a
2006 김동영* 과학교사의 학생 평가 전문성 신장을 위한 자기 진단 프로그램 개발 연구 : 지구과학 내용을 중심으로 33 지필평가
2007 송미영․김경희 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진단도구 개발 60 5단 리커트 척도a
2012 박영민 쓰기 평가 지식 측정을 위한 검사 도구 개발 연구 22 지필평가
2013 하유라․손원숙 초등교사의 개인 내적특성과 평가실제와의 관계 24 5단 리커트 척도a
2015 김신영 교실 내 학생평가의 운영 실태와 개선 방향 9 3단 리커트 척도b
2015 김석우 외 중등교사의 평가 전문성 제고 방안 : 서술형 평가 및 수행평가를 중심으로 53 5단 리커트 척도a
2015 오세영 국어교사의 학생글 평가 전문성 연구: 평가자 협의에 따른 전략 차이를 중심으로 20 5단 리커트 척도a
2015 최숙기 Rasch 모형을 활용한 국어 교사 평가 전문성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10 5단 리커트 척도a
2016 박은아․서민희 성취평가제에서의 교사 역량 지표 개발 및 타당화 28 5/7단 리커트 척도a
2017 김나영 중등학교 영어 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평가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25 5단 리커트 척도a
2018 박지현 외 과정 중심 평가 내실화를 위한 교사의 평가 전문성 신장 방안 연구 60 5단 리커트 척도a
2019 김유정 외 교사의 과정 중심 평가 역량(T-PEC)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20 5단 리커트 척도a
2019 이수정․김민정 전문교과 교사의 평가 전문성 진단도구 개발 연구 20 5단 리커트 척도a
2019 임은영 교사의 학생평가 역량 연구 18 5단 리커트 척도a
평가 전문성 기준과 측정도구를 모두 개발한 연구로 중복 분석
3/5/7단계(전혀 그렇지 않다~매우 그렇다)
3단계(잘 이해하지 못하며 이에 대한 도움이 필요하다, 이해는 하지만 실행방법을 잘 모른다, 이해하고 그 실행방법도 잘 알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