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1 독립변인

구분 영역 변인
학생 변인 (169 문항) 학생배경 (23문항) 개별문항 성별, 집에서 모국어 사용 여부
파생변인 나이, 학년, ESCS, 부모님의 최고학력, 아버지의 학력, 어머니의 학력, 아버지의 사회경제직업수준, 어머니의 사회경제직업수준, 가정의 문화적 보유자산, 가정의 교육적 자산, 가정의 부유함, ICT 자산, 최종 학력에 대한 계획(3문항), 유아기의 교육과 돌봄, 이주 여부, 학년유예, 현재 최종 학력(ISCED designation), 목표 학력(ISCED orientation), 학생이 기대하는 직업 수준
학생과정 (27문항) 개별문항 작업완성도 관련 문항, 지능의 가변이론, 주관적 삶의 안녕감-정서(6문항)
파생변인 읽기 전략-이해하고 기억하기, 읽기전략-요약하기, 디지털 읽기 전략-질과 신용성 파악, 읽기에 대한 즐거움, 읽기에 대한 능력 인식, 읽기에 대한 어려움 인식, PISA 검사의 어려움에 대한 인식, PISA 검사 및 설문 응답에 대한 노력(2문항), 경쟁력, 작업완성도, 주관적 삶의 안녕감-긍정정서, 숙달 목표 지향, 실패에 대한 두려움, 행복-삶의 의미, 회복 탄력성, 부모의 정서적 지지
학습관련 (37문항) 개별문항 학습 기회-자료(4문항), 학습 기회-국어 수업 과제 및 숙제(9문항), 학습 기회-텍스트 길이, 디지털 국어 학습 기회(7문항), 다양한 자료 읽기 활동(5문항), 독서 여부, 취미 읽기 시간, 온라인 읽기 활동(6문항)
파생변인 수업에서의 분위기, 수업에서의 교사의 지지, 수학 학습시간, 국어 학습시간, 과학 학습시간, 총 학습시간
학교참여관련 (27문항) 개별문항 따돌림 경험(3문항), 무단 결석/ 무단 결과/ 지각여부(3문항), 따돌림에 대한 의견(5문항), 교사 지원(3문항)
파생변인 교사의 직접적 지시, 수업에서의 피드백, 학생이 인식한 읽기 참여에 대한 교사의 자극, 지시에 대한 순응, 교사의 흥미 인식, 학교에서 학생들의 경쟁심에 대한 인식, 주관적 삶의 안녕감-학교 소속감, 학교에서의 학습에 대한 태도, 학교에서 학생들의 협동에 대한 인식
ICT관련 (55문항) 개별문항 디지털 기기를 처음 사용한 시기(나이), 뉴스를 읽는 방식, 인터넷에 처음 접속한 시기(나이), 집에 구비된 디지털 기기의 사용 여부(11문항), 학교에서의 인터넷 사용 정도, 학교 밖에서의 인터넷 사용 정도(2문항), 학교에 구비된 디지털 기기의 사용 여부(10문항), 학교 밖에서 학교 관련된 활동을 위한 디지털 기기 사용 빈도, 학교 수업에서 디지털 기기 사용 정도(4문항), 학교 수업 이외의 학습에서 디지털 기기 사용 정도(4문항), 학교 수업에서 학생이나 교사의 디지털 기기 사용 여부(8문항)
파생변인 ICT에 대한 흥미, ICT 역량 인식, ICT사용 자율성 인식, 사회적 상호작용주체로서의 ICT, 학교 밖에서의 ICT 사용(레져), 학교 밖에서의 ICT 사용(학교 활동), 학교에서의 일상적인 ICT 사용, 수업에서 주제와 관련된 ICT 사용, 수업 이외의 주제와 관련된 ICT 사용, 가정에서 이용 가능한 ICT, 학교에서 이용 가능한 ICT
학교 변인 (93문항) 학교여건 (16문항) 개별문항 학교위치, 교사 수(정규, 시간제)(2문항), 학교의 진로 지도 담당자(4문항)
파생변인 학생-교사비율, 학교 크기, 학생 1명당 사용 가능한 컴퓨터 수, 인터넷에 연결 가능한 컴퓨터 비율, 교사 전체 수, 정규직 교사 비율, 학사졸업 교사 비율, 석사졸업 교사 비율, 박사 졸업 교사 비율
학교풍토 (77문항) 개별문항 3개월 동안 전문성 계발 연수 프로그램에 참여한 교사 비율, 1학년 학생들의 특성(3문항), 학교 행사에 참여한 학부모 비율(4문항), 학교 선택, 입학 사정 시 고려사항(7문항), 성취도 결과의 책무성 이행 절차에의 활용 여부(3문항), 질 점검 및 개선을 위한 대책(10문항), 1학년 학생들의 능력별 편성 여부(2문항), 학생들의 학습 지원(3문항), 모국어가 한국어가 아닌 학생에 대한 교내 평등정책(5문항), 정규 수업외 추가로 실시되는 국어 수업, 학생들의 평가 결과 사용 방법(11문항), 교수학습을 위한 ICT 도구 준비도(11문항), ICT 도구 활용을 위한 전략(8문항), 해외 학교 교사 방문이나 교환 교사 프로그램 유무, 학교의 진로 지도 방법
파생변인 학습도구 부족, 학습보조(staff)부족, 학교 분위기를 저해하는 학생행동, 학교 분위기를 저해하는 교사변인, 교과 외 활동 제공
독립변인의 영역 구분은 박혜영, 임현정(2015), 이인화, 구남욱(2019)의 연구를 바탕으로 재구성.
독립변인의 명칭은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19) PISA2018 결과발표 내용을 참고하였음.
파생변인(derived variable)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파생변인을 우선적으로 사용하였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