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EA | 수학 | • 성취기준에 따른 내용의 난이도• 자료나 소재의 친숙도• 문항 유형: 답안 작성 방식(서답형), 문항 구성/답지 제시의 복잡성(합답형 등) | 구자옥 외(2019a) |
수능 | 국어 | • 교육과정상의 중요도 • 문항의 완성도• 문항의 난이도 • 문항의 참신성• 문항의 지속성 | 권태현 외(2017)권태현,김승현(2019)남민우 외(2016) |
언어 | • 듣기 영역 : 내용/제재의 생소성, 구조/내용전개의 복잡도, 유형의 생소성• 쓰기 영역 : 과제의 생소성, 과제 해결 소요 시간, 행동 영역• 읽기 영역 : 과제 해결 소요 시간, 자료로 인한 문제의 복잡도, 오답지 매력도, 문제 해결을 위해 요구되는 언어 단위 | 박문환(2004)송현정(2004)이종승 외(2003) |
수리 | • 내용이나 제재의 생소성, 문제 해결에 필요한 개념의 수, 계산의 복잡성, 내용 영역, 행동 영역, 문항 유형 |
전국 연합 학력평가 | 수학 | • 내용 영역 : 수학 교과 내용적 유사성에 따라 재설정• 행동 영역 : 계산, 이해, 발견적·연역적 추론, 내적·외적 문제 해결• 문항 유형 : 정답형, 합답형, 부정형, 완성형, 단답형 | 고호경, 이현숙 (20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