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문장과 수를 해석하고 일상생활을 해나갈 수 있는 역량을 중심으로 정립하여 공교육을 통해 실질적으로 보장 가능한 범위☞ 학교 교육과정을 통하여 갖춰야 하는 읽기·쓰기·셈하기와 이와 관련된 교과(국어·수학)의 최소 성취기준 충족 | 국어, 수학 | 읽기· 쓰기· 셈하기 | 최소 성취 기준 | - | 기초 학력 지원 내실화방안 (교육부, 2019. 3. 29.) |
② 학생이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학교 교육과정을 통하여 갖춰야 하는 읽기·쓰기·셈하기 등을 포함한 최소한의 성취기준을 충족☞ 최소한의 성취기준은 해당 학년의 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 국어, 수학의 읽기·쓰기·셈하기 관련 성취기준에서 평가기준 하에 해당하는 수준 | 국어, 수학 | 읽기· 쓰기· 셈하기 | 평가 기준 (하) | - | 기초 학력보장법안 (2019. 3월 국회협의 기준) 및 시행령 |
③ 평가 대상 학년급 학생들이 성취하기를 기대하는 교육과정의 기본 내용(지식과 기능)을 부분적(20∼50%)으로 이해한 수준 | 학업 성취도 평가 대상 교과 | 교육과정의 기본 내용 | 부분적 이해 (20∼50%) | 평가 대상 학년급 |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박인용 외, 2017: 9~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