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기 | NLR1 | 작가와 작품에 대한 지식(문화적 유산으로서 고전 및 현대 문학에 기여한 점) |
NLR2 | (사실적 텍스트, 상상적 텍스트, 설득적 텍스트 포함) 다양한 유형 텍스트의 구조적·언어학적 특징 |
NLR3 | 설득, 기술, 설명, 감정 표현, 생각과 정서, 정보 표현에 사용되는 문법적 특징과 언어학적 기법 |
NLR4 | 일상적이고 전문적인 어휘를 증가시키는 단어 |
NLR5 | 읽기 및 유창성을 향상하는 단어 및 안내 체제(cueing system) |
NLR6 | (요약, 평가) 다양한 목적, 독자, 맥락을 대상으로 한 읽기 활동 |
NLR7 | (온라인, 도서관 등) 텍스트 및 문서 검색 활동 |
NLR8 | 환경적 지속 가능성, 국제적 이해 교육, 공존과 평화, 인권 및 기본적 권리로서의 자유를 포함한 글로벌 시민성 및 지속 가능한 발전 교육과 관련한 개념 |
NLR9 | 프로그래밍, 데이터 과학, 컴퓨팅 사고 관련 개념 |
쓰기 | NLW1 | (사실적, 상상적, 설득적 텍스트 포함) 다양한 쓰기 및 디지털 텍스트 관련 구조적·언어학적 특징 |
NLW2 | (목적 설정, 아이디어 조직 등의) 텍스트 처리 및 의도된 목적과 독자를 고려한 활동 |
NLW3 | 의도된 목적, 독자, 맥락을 고려한 초고 쓰기 및 편집 활동 |
NLW4 | 글쓰기를 통한 감정과 생각을 표현하는 활동 |
NLW5 | 텍스트를 접근 가능하고 목적적인 형식으로 표시하기 위한 수사 및 레이아웃의 사용 및 다양한 도구의 사용(필기 및 키보드 사용) |
NLW6 | 쓰기 텍스트(예: 쓰기, 시각, 디지털)를 사용한 쓰기 생산 및 생성 활동 |
NLW7 | 작가의 작품(예: 문학, 신문, 논설, 과학 논문, 시 등), 작가처럼 생각하고 쓰는 방법, 문자와 디지털 텍스트가 실제 지식/실제 세계에 기여하고 관련되는 방법(인식론적 지식) |
NLW8 | 도덕적이고 윤리적인 이슈(예: 표절, 개인 정보 보호, 온라인 공유) |
말하기 | NLS1 | 서로 다른 유형의 구술텍스트가 갖는 구조적·언어학적 특징 및 구술 텍스트와 쓰기 텍스트의 차이 |
NLS2 | 형식적·비형식직 구술 텍스트(상이한 목적, 청중, 맥락에 따라 다른 텍스트. 예를 들어, 다양한 주제를 가지고 강연/발표 준비, 의견과 생각의 교환) |
NLS3 | 설득, 기술, 설명, 리뷰, 감정 표현, 생각과 정서 및 정보 제시에 사용된는 구술성 관련 문법적 특징과 언어학적 기법 |
NLS4 | 구술 텍스트의 확장된 어휘 사용(쓰기에서의 일상적·전문적 어휘와 비교) |
NLS5 | 구술 텍스트 전달을 위한 수사 및 발표 관련 활동 |
NLS6 | 구술로 텍스트를 제시할 때의 몸짓 언어의 사용 활동 |
NLS7 | 말하기에서의 도덕적·윤리적 이슈(예: 괴롭힘, 폭력, 혐오 발언, 책임감 있는 시민권과 사회 참여로 이어지는 태도) |
듣기 | NLS1 | 서로 다른 유형의 구술텍스트가 갖는 구조적·언어학적 특징 및 구술 텍스트와 쓰기 텍스트의 차이를 통한 듣기 정확성, 의미 및 의도 향상 |
NLS2 | 설득, 기술, 설명, 리뷰, 감정 표현, 생각과 정서 및 정보 제시에 사용된는 구술성 관련 문법적 특징과 언어학적 기법. 이를 통한 듣기에서의 정확성, 의미 및 의도 향상 |
NLS3 | 구술 텍스트를 들을 때의 정보 처리 활동(목적, 수사 등) |
NLS4 | 다른 사람의 말을 들을 때의 몸짓 언어 |
NLS5 | 다른 사람의 구술 텍스트를 들을 때의 활동(예: 피드백이나 개인적 의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