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1 OECD Education 2030에 포함된 역량(이미경 외, 2018, pp.17-22, 일부 발췌)

구분 내용
기초 소양 1 문식성 문자/음성/시각/다중양식(multimodal) 텍스트를 평가·이용하고 관여하는 능력
2 수리력 수학적 정보 및 아이디어에 접근하고, 이를 이용·해석·소통하는 능력
3 ICT/디지털 리터러시 학교 및 학교 밖에서 정보와 의사소통 기술을 활용하는 능력
4 데이터 리터러시 수학적 이해 및 기능(특히 통계적)을 토대로 데이터로부터 의미 있는 정보를 수집, 창조, 소통하는 능력
5 체육/건강 리터러시 건강하고 능동적인 삶을 위해 육체적, 심리적, 인지적, 사회적 역량을 결합하는 능력과 동기
기능, 태도, 가치 6 비판적 사고력 아이디어와 해결책에 문제를 제기하거나 평가하는 능력
7 문제해결력 어렵거나 복잡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찾는 과정
8 협동/협력 집단의 구성원으로서 공동의 목적을 위해 일하고, 헌신하며, 맡은 바를 수행하는 것
9 자기조절 즉각적인 만족을 느끼려는 충동이나 감정적 표현을 조절하는 능력
10 공감 배려하는 자세로 다른 사람과 공유하고 이해하며 대응할 수 있는 능력
11 존중 자신과 타인을 소중히 여기며 자신과 타인의 감정, 희망, 권리를 소중히 여기는 것
12 끈기/회복력 어려움에 직면하거나 누군가 반대하는 상황에 처했을 때 이를 극복하는 노력이나 기질
13 신뢰 수행되었거나 계획된 행위의 신뢰성과 무결성에 대한 믿음에 기초하여 개인과 기관/조직에 대해 갖는 태도
14 학습에 대한 학습 학습 자체의 현상에 대한 인식과 이해
주요 개념 15 학생 주도성 의도적인 주도권, 즉 무력감과 반대되는 능력 및 성향
16 협력적 주도성 학습자가 자신의 가치 있는 목표를 향해 나아가는 데 도움이 되는 상호적이고 상호 협조적인 관계
변혁적 역량 및 역량 개발 17 새로운 가치 창조 새로운 솔루션, 제품 및 서비스, 일자리, 프로세스와 방법과 같이 2030년을 대비하기 위한 새로운 성장 동력을 식별함으로써 사회에 가치를 추가하는 능력
18 책임감 가지기 개인과 집단의 웰빙을 위해 좋은 이유, 원칙, 그리고 진실성을 위해 책임감 있게 행동하는 능력
19 긴장과 딜레마 해소하기 긴장, 딜레마, 대립요소 간의 균형, 여러 복잡한 요소 간의 결합, 모호성, 비동시성 및 비선형 프로세스를 건설적이고 미래 지향적인 방식으로 처리할 수 있는 능력
20 예측 다른 사람에 대한 자신을 넓히고 효과적으로 미래에 대처하는 능력
21 실행 사전에 설정된 목적을 위해 의지와 능력을 가지고 어떤 행위를 하는 것
22 반성 의사결정을 하거나 직접적인 행동을 취하기에 앞서 당연하게 여겨지는 것들에 대해 비판적 사고를 취하는 것
복합 소양 23 글로벌 역량 타인의 관점과 세계관을 이해하고 인식하며 서로 다른 문화의 사람들과 개방적이고 적절하며 효과적인 상호작용을 하고 행동할 수 있는 역량
24 미디어 리터러시 미디어(소셜 미디어와 뉴스 사이트 등)에서 읽은 것을 비판적으로 생각하고 분석하는 능력
25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소양 지속 가능한 발전을 촉진하는 데 필요한 지식, 기능, 태도 및 가치를 습득하는 것
26 컴퓨팅사고력/프로그래밍/코딩 문제를 인지하고 컴퓨터 기반 기술을 활용함으로써 해결책을 찾아내는 것
27 금융 리터러시 재무 문제와 의사결정이 수반되는 실제상황에 재정적 지식과 기술을 적용하는 능력
28 기업가 정신 가치를 더하는 데 필요한 이해, 기능, 기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