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성취 내용은 교과(목)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에 근거해야 한다. | • 성취기준이 객관적 준거가 됨• 성취기준은 교육 목표와 긴밀함• 교과에서 성취기준이 중요함 |
② 성취 내용은 교과(목) 교육과정의 교과 역량에 근거해야 한다. | • 현행 교육과정이 역량 중심의 교육과정임• 교과를 배우는 목적이 역량의 함양 및 신장임• 미래 사회 대비 및 모든 학생들을 위한 교육에 요구됨 |
③ 성취 내용은 지식, 기능, 태도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 • 학생의 인성 교육에 대한 중요성• 지식뿐 아니라 전반적인 교육이 필요• 인간의 전반적 성장을 학습에서 고려해야 함 |
④ 성취 정도는 교과(목)에서 기대하는 최소의 능력 정도를 담아야 한다. | • 미이수 학생의 최소화• 무자격 졸업을 배제할 필요 있음• 학점제 안착과 학생 부담 최소화 |
⑤ 성취 정도는 교과(목)에서 기대하는 일정한 정도의 적정한 능력 정도를 담아야 한다. | • 일정 정도의 적정한 능력 습득은 학업 성취의 기본임• 교과 이수의 의미 달성과 후속 학습 고려 |
⑥ 성취 정도는 현행 성취평가제(A-B-C-D-E)의 최저 수준 이하이어야 한다. | • 표준화된 등급이 기준이 되어야 함• 미이수 학생의 최소화• 교육과정과의 연계성 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