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9 성장 모니터링 시스템의 교수·학습 지원에 대한 교사 의견

구분 의견
교수·학습 과정에서 성장 모니터링 시스템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 • 형성평가까지 포함시키기 보다는 지필과 수행평가를 통해 학생 성장 속도에 대한 결과를 알아보고, 변화 양상에 대해서는 교사 누가 기록을 강화한 총평을 통해 학생이 이를 지속적으로 포트폴리오 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음• 교수·학습 과정 구안 시 성장요소별로 학생들의 누적된 성취도를 확인하고 이를 통해 학급별/학생별 수준을 파악하여 맞춤 수업하는 데 도움이 됨• 학생들의 수업 이해도에 대한 평가 자료로 활용 가능함• 학생 성취도가 낮은 부분에 대한 보충학습 및 수업 방법 개선의 근거로 활용 가능함
교수·학습 활용을 위한 개선 사항 및 추가 기능 • ‘학급별 진단결과 조회’ 기능이 좀 더 세분화 된다면 교사가 이를 진단 평가로 활용하여 수업을 계획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임• 나이스를 통한 학년간 정보 연계, 수행평가와 형성평가의 나이스 연계가 필요함• 성장요소가 몇 학년의 어느 부분에서 배우는 것인지 확인할 수 있도록 기능 추가가 필요함• 성장 모니터링 시스템의 상, 중, 하 평가 결과를 객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문제은행이 추가된다면 보다 도움이 될 것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