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9 과정 중심 평가 시행 측면의 운영 요인별 세부 요소 조사 결과

운영 요인 운영 요인별 세부 요소* 2차 3차
비율 비율 CV
I-1 수업 전 과정 중심 평가 준비 I-1-1. 교육과정 및 학습자 분석을 바탕으로 평가를 준비 67.7% 87.1% 0.39
I-1-2. 수업 시작 전 학습과 평가가 교수학습 과정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시간과 공간 마련 64.5% 77.4% 0.55
I-1-3. 평가 실시 전 평가에 대한 사전 안내(학생, 학부모 등) 64.5% 67.7% 0.70
I-2 과정 중심 평가의 취지에 부합한 평가 활동 I-2-1. 교수·학습 지도안에 수립된 평가 계획에 따라 수업 중에 평가 실시 87.1% 96.8% 0.19
I-2-2. 과제 수행을 위한 활동의 과정과 결과 평가 61.3% 67.7% 0.70
I-2-3. 학생의 다양한 인지적, 정의적 성장 과정을 측정 74.2% 83.9% 0.45
I-2-4. 학생 스스로 자신의 성장 과정을 확인할 수 있도록 평가를 시행 67.7% 80.6% 0.50
I-2-5. 과정별 학습 상황을 확인하고 학습자가 이를 인지할 수 있도록 평가 54.8% 51.6% 0.98
I-2-6. 교수학습 활동 중 관찰되는 학생 반응과 같은 다양한 자료 수집 64.5% 71.0% 0.65
I-2-7. 공정성 확보를 위한 평가 과정 및 결과 점검(공정한 채점 실시, 평가자 간 신뢰도 점검 등) 54.8% 45.2% 1.12
I-3 평가 과정과 결과의 기록 I-3-1. 평가 계획에 따라 성취기준의 교과 내용적 측면뿐만 아니라 교과 역량 측면을 관찰 64.5% 58.1% 0.86
I-3-2. 학생들의 학습 활동을 평가틀에 따라 관찰하고 해석 61.3% 67.7% 0.70
I-3-3. 수업 중 평가 실행 및 누가 기록(관찰평가를 위한 체크리스트 활용 등) 61.3% 61.3% 0.81
I-3-4. 평가 과정과 결과에서 발견된 특별한 내용에 대한 세부적으로 기록 71.0% 80.6% 0.50
I-4 평가 과정에서의 학생 참여 I-4-1. 학생들의 능동적 참여를 촉진하는 평가 80.6% 96.8% 0.19
I-4-2. 학생과의 원활한 상호 작용을 위한 교사의 의사소통 64.5% 61.3% 0.81
I-5 과정 중심 평가 시행을 위한 환경 조성 I-5-1. 평가 준비를 위해 활용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 83.9% 87.1% 0.39
I-5-2. 학습과 그에 대한 평가(평가 도구, 관찰 및 피드백 방법)의 실행을 위한 제반 여건 확인 90.3% 96.8% 0.19
3차 조사 결과에 따른 수정 사항을 반영하여 최종적으로 정리된 세부 요소와 해당 요소의 2차/3차 델파이 조사 결과를 제시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