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8 과정 중심 평가 도구 개발 측면의 운영 요인별 세부 요소 조사 결과

운영 요인 운영 요인별 세부 요소* 2차 3차
비율 비율 CV
D-1 평가 내용 선정 및 구성의 적절성 D-1-1. 수업 내용의 학습 여부 및 정도를 측정 71.0% 93.5% 0.27
D-1-2. 계획한 평가가 교과 내용뿐만 아니라 교과 역량을 평가하기에 적합한지 검토 64.5% 61.3% 0.81
D-1-3. 실질적인 맥락을 통한 가치 있는 경험 및 통합적인 사고 능력을 요구하는 내용을 평가 64.5% 80.6% 0.50
D-1-4. 정의적 영역도 평가 영역에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 58.1% 61.3% 0.81
D-2 평가 과제의 설계 및 평가 도구 개발의 적절성 D-2-1. 성취기준을 학습하기에 유의미한 과제 설계 80.6% 93.5% 0.27
D-2-2. 성취기준의 도달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적절한 교수학습 활동 선정 또는 고안 77.4% 83.9% 0.45
D-2-3. 성취기준의 도달 정도를 평가하기에 타당한 평가 도구 개발 74.2% 80.6% 0.50
D-2-4. 교수·학습 과정에서 활용할 수 있는 평가 도구 개발 64.5% 71.0% 0.65
D-2-5. 평가 계획 및 과제 내용에 부합하는 평가 방법 및 도구 개발 61.3% 58.1% 0.86
D-2-6. 과제별 수행 과정 설정, 세부 평가 영역(요소) 추출, 배점, 과제 수행 시기의 타당성 검토 54.8% 51.6% 0.98
D-3 과정 중심 평가가 가능한 채점 기준 및 기록 방법 개발 D-3-1. 성취기준의 도달 정도 및 역량을 평가할 수 있는 타당한 채점 기준 개발 67.7% 90.3% 0.33
D-3-2. 구체적이고 명확한 채점 기준 개발 77.4% 96.8% 0.19
D-3-3.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채점 방안 마련 54.8% 48.4% 1.05
D-3-4. 일정한 플랫폼(온·오프라인)을 기반으로 한 학생 활동 누가 기록 방안 마련 58.1% 58.1% 0.86
D-4 평가 도구의 적절성 점검 및 보완 D-4-1. 학년(교과) 협의회 등을 통한 평가 도구 및 방법의 적절성에 대한 점검 및 보완 64.5% 80.6% 0.50
3차 조사 결과에 따른 수정 사항을 반영하여 최종적으로 정리된 세부 요소와 해당 요소의 2차/3차 델파이 조사 결과를 제시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