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7 과정 중심 평가 계획 수립 측면의 운영 요인별 세부 요소 조사 결과

운영 요인 운영 요인별 세부 요소* 2차 3차
비율 비율 CV
P-1 성취기준의 의미 이해 P-1-1. 성취기준은 기대하는 학습 결과에 대한 기술임에 대한 이해 90.3% 100.0% 0.00
P-2 성취기준 분석을 통한 교육과정 재구성 P-2-1. 교육과정과 성취기준에 대한 명확하고 전문적인 이해 80.6% 90.3% 0.33
P-2-2. 학교와 학생 특성에 맞춘 성취기준의 이해 64.5% 71.0% 0.65
P-2-3. 성취기준과 학습 내용 및 교과 역량의 관계 분석 51.6% 41.9% 1.20
P-2-4. 교육과정 재구성 시 적절한 성취기준 간의 연계성 고려 67.7% 80.6% 0.50
P-3 성취기준-교수학습-평가를 연계한 평가 계획 수립 P-3-1. 교수·학습과 연계한 평가 목표 및 내용 선정 83.9% 90.3% 0.33
P-3-2. 평가 계획과 연계한 교수.학습 방법 마련 74.2% 90.3% 0.33
P-3-3. 교수·학습 계획 설계 시 평가 계획을 함께 수립 87.1% 93.5% 0.27
P-3-4. 성취기준에 기반한 평가기준 마련 및 조정 67.7% 80.6% 0.50
P-4 평가 계획 수립 시기 및 절차의 적절성 P-4-1. 학생 수준을 고려한 평가 계획 수립 71.0% 83.9% 0.45
P-4-2. 평가 계획 수립 시 평가 시기 및 횟수의 적정성 검토 71.0% 77.4% 0.55
P-4-3. 학기 초 학년(교과) 협의회 운영을 통한 평가 계획 점검 및 관련 정보 공유 87.1% 96.8% 0.19
P-4-4. 수립한 평가 계획을 학기 초 학생 및 학부모에게 안내(정보 공시 등) 71.0% 83.9% 0.45
P-5 성취기준 도달을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평가방법의 선정 P-5-1. 성취기준 도달을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평가방법의 선정 90.3% 90.3% 0.33
P-5-2. 실행가능한 평가방법의 선정
3차 조사 결과에 따른 수정 사항을 반영하여 최종적으로 정리된 세부 요소와 해당 요소의 2차/3차 델파이 조사 결과를 제시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