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4 과정 중심 평가의 의미(개념)에 관한 1, 2차 델파이 조사 결과

1차 조사 결과 2차 조사 결과
(1)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에 기반한 평가 계획에 따라 교수학습 과정에서 학생의 변화와 성장에 대한 자료를 다각도로 수집하여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평가 45.2%
(2) 수업 중 과제를 해결해 나가는 과정에서 학생이 보이는 모습들(문제 해결을 위한 지식 활용, 동료 학생과의 협동, 학습한 내용과 삶과의 연계에 따른 내면화의 정도 등과 관련한 모습들)이나 학업 수행 시 나타나는 지식, 기능, 태도를 종합적으로 관찰하고 평가한 후 피드백을 통하여 학생의 성장을 돕는 평가 9.7%
(3) 형성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실시되는 모든 평가(프로젝트, 실험, 토론, 역할극과 같은 수행평가, 관찰평가, 자기성찰 평가, 동료평가, 포트폴리오 평가 등)를 포괄하는 의미 3.2%
(4) 교육목표에 따라 성취기준의 내용을 학습하는 과정에서 학생의 현재 성취 지점을 확인하고 결손 부분이나 학업 및 과제 수행에서 겪는 어려움을 진단하여, 학생의 학업 성취를 지원 및 개선하기 위한 효율적인 피드백을 적시에 제공하고 이를 교수‧학습의 재구성에 반영하는 평가 9.7%
(5) 국가 수준 교육과정에 기반을 두고 단위학교의 교육과정을 마련한 뒤, 성취기준 도달 여부를 과정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평가 계획을 과정에 따라 구획하여 수립하고 교수학습 과정에서 이를 단계적으로 실시하는 평가 6.5%
(6) 교육과정에 제시된 성취기준을 바탕으로 수업과 평가를 연계하여 계획‧실행하고 학습의 결과에 대비된 학습의 과정에 초점을 맞추어(결과에 대한 평가를 제외하는 것은 아님) 수행된 평가 방법으로 수집된 자료를 학생의 성장과 학습 지원‧수업의 개선‧총괄평가의 근거로 활용할 수 있는, 형성적 목적이 강조된 평가 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