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6 교과서 내 ‘자원관리와 자립’ 영역의 다문화교육 내용 빈도

유형 범주 하위요소 교과서 빈도 총합 평균
A B C D E
지식 ① 문화 일반 이해 ⓐ 문화 의미, 의의 - - - - - 0 0.00
ⓑ 문화 특징, 속성 - - - - - 0 0.00
② 다양한 문화 현상 이해 ⓒ 세계화, 다원화 - - - - - 0 0.00
ⓓ 세계 공동체 - - 2 - - 2 0.40
ⓔ 세계 다양한 문화 3 8 6 1 3 21 4.20
③ 한국 문화/사회적 상황 이해 ⓕ 한국 문화 특징 - - 1 - 1 2 0.40
ⓖ 한국 사회 변화 7 3 13 - 4 27 5.40
기능 ④ 의사소통 기능 ⓗ 의사소통 방법 이해 - - - - - 0 0.00
ⓘ 상황별 의사소통 - - - - 1 1 0.20
⑤ 다문화현상 조사/ 해석 ⓙ 다문화 현상 조사 - - - - - 0 0.00
ⓚ 다문화 현상 해석 - - - - - 0 0.00
⑥ 대인 및 집단 기능 ⓛ 민주적 절차 준수 - - - - - 0 0.00
ⓜ 의사결정 - - - 1 1 2 0.40
ⓝ 갈등 해결 - 2 1 4 1 8 1.60
ⓞ 협력 - - - - - 0 0.00
가치 ⑦ 정체성 확립 및 상호 존중 ⓟ 자아정체성 - - 2 1 - 3 0.60
ⓠ 자문화 의식 - - - 2 - 2 0.40
⑧ 다름에 대한 인정과 존중 ⓡ 이질적 외모 존중 - - - - - 0 0.00
ⓢ 타문화 인정, 존중 - - - - - 0 0.00
ⓣ 소수자 인식, 존중 - - 1 - - 1 0.20
⑨ 민주적 공동체 지향 ⓤ 민주적 가치 존중 11 7 4 - 2 24 4.80
ⓥ 참여 의식 제고 5 - 1 - 1 7 1.40
ⓦ 다양성-통합 균형 - - - - - 0 0.00
전체 26 20 31 9 14 100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