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범주 | 하위요소 |
---|---|---|
지식 | ① 문화 일반 이해 | ⓐ 문화의 의미와 의의 |
ⓑ 문화의 특징과 속성 | ||
② 다양한 문화 현상 이해 | ⓒ 세계화, 다원화 | |
ⓓ 세계 공동체 | ||
ⓔ 세계의 다양한 문화 | ||
③ 한국의 문화적, 사회적 상황 이해 | ⓕ 한국 문화의 특징 | |
ⓖ 한국 사회의 변화 | ||
기능 | ④ 의사소통 기능 | ⓗ 의사소통 방법의 이해 |
ⓘ 상황에 따른 표현과 의사소통 능력 | ||
⑤ 다문화 현상 조사 및 해석 가능 | ⓙ 다문화 현상 조사 | |
ⓚ 다문화 현상 해석 | ||
⑥ 대인 및 집단 기능 | ⓛ 민주적 절차 준수 | |
ⓜ 의사결정 | ||
ⓝ 갈등 해결 | ||
ⓞ 협력 | ||
가치 | ⑦ 정체성 확립 및 상호 존중 | ⓟ 자아정체성 |
ⓠ 자문화 의식 | ||
⑧ 다름에 대한 인정과 존중 | ⓡ 이질적 외모 존중 | |
ⓢ 타문화 인정 및 존중 | ||
ⓣ 사회적 소수자 인식 및 존중 | ||
⑨ 민주적 공동체 지향 | ⓤ 민주적 가치 존중 | |
ⓥ 참여 의식 제고 | ||
ⓦ 다양성과 통합 사이의 균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