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계 (10개 문항) | 계획요인(4개 문항) | 1. 학생들이 자기들의 활동을 수정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정보를 준비한다.(1)2. 학생들이 과제를 기대하는 수준으로 완성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피드백을 준비한다.(4)3. 학생들의 활동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다양한 평가방법을 계획한다.(10)4. 수업의 핵심개념을 확인할 수 있도록 수업을 설계한다.(14) |
과정요인(6개 문항) | 5. 학생들에게 교사의 피드백에 반응할 기회를 준다.(2)6. 학생들의 수준에 적합한 피드백을 주고받는다.(5)7. 친구들과 모둠 활동을 통해 상호협력하면서 문제해결을 하도록 안내한다.(20)8. 학습 활동 간의 유기적 관계가 문제해결에 도움이 되는지 확인하는 질문을 한다.(13)9. 학생들의 사고력을 촉진하기 위해 학생들의 경험과 관련된 질문을 한다.(17)10. 학생들의 수준에 적합한 구체적이고 명료한 질문을 한다.(21) |
모니터링 (12개 문항) | 향상요인(4개 문항) | 11. 학생들의 활동을 수정하기 위해 피드백을 제공한다.(23)12. 학생들에게 피드백을 제공한 후 학습활동의 진행과정을 점검한다.(26)13. 학생들이 문제해결 과정에서 어려움에 직면했을 때 조언자로서 적절히 개입한다.(33)14. 수업에 필요한 자료를 적절한 시기에 제시하여 활용한다.(39) |
격려요인(4개 문항) | 15. 학생들을 칭찬하고 격려하는 긍정적인 피드백을 제공한다.(24)16. 학생들이 자신들의 활동에 쏟은 노력에 적극적으로 피드백을 한다.(27)17. 학생들의 학습동기와 자존감을 높이는 피드백을 제공한다.(31)18. 학생들의 질문을 경청하고 의견을 존중하는 편이다.(34) |
자기규제요인(4개 문항) | 19. 학생들이 자신의 활동을 스스로 평가해 보도록 안내한다.(25)20. 학생들이 스스로 학습향상을 위한 아이디어를 내보도록 한다.(28)21. 피드백이 학생들 스스로 자기활동을 평가하는데 도움이 된다.(32)22. 학생들이 상호간에 유용한 피드백을 제공한다.(3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