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1 모형에 투입된 학생수준 설명변수

구분 변수 설명
학생 배경 학생 성별 0=남학생, 1=여학생
가정 교육자원 지표 ○ 공부용 책상 ○ 조용히 공부할 수 있는 장소
○ 교육용 소프트웨어 ○ 학교 공부를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컴퓨터
○ 사전 ○ 전문 기술 서적 ○ 학교 공부에 참고할 수 있는 책
2점 척도 7문항 응답결과로 산출된 표준화 지표(HEDRES)
가정 문화적 자산 지표 ○ 고전문학 ○ 예술 작품 ○ 시집 ○ 미술, 음악, 디자인 관련 서적 ○악기
2점척도 5문항 응답결과로 산출된 표준화 지표(CULTPOSS)
과학 관련 정의적 특성 도구적 동기 ○ 과학 과목은 내가 나중에 하고 싶은 일을 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므로 노력할 가치가 있다.
○ 내가 과학 과목에서 배운 많은 것은 취업에 도움이 될 것이다.
등 4점 척도 4문항 응답결과로 산출된 표준화 지표(INSTSCIE)
자아효능감 ○ 병을 치료할 때 항생제가 하는 역할 설명하기
○ 산성비 형성에 대한 두 가지 설명 중 더 나은 것을 식별하기
등 과제를 혼자 힘으로 얼마나 쉽게 해낼 수 있다고 생각하는지에 대한 4점 척도 8문항 응답결과로 산출된 표준화 지표(SCIEEFF)
흥미 ○ 생물계 ○ 운동과 힘 ○ 우주와 우주의 역사 ○ 에너지와 에너지의 전환
등 과학 관련 주제에 어느 정도 흥미가 있는지에 대한 4점 척도 5문항 응답결과로 산출된 표준화 지표(INTBRSCI)
과학 교수 방법 교사 주도형 수업 ○ 선생님은 우리의 질문에 대해 논의하신다.
○ 선생님은 과학적인 아이디어를 설명하신다.
등 4점 척도 4문항 응답결과로 산출된 표준화 지표(TDTEACH)
피드백 제공 수업 ○ 선생님은 내가 이 과학 과목에서 보이고 있는 성취수준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
○ 선생님은 나에게 어떤 영역에서 성취도를 더 높일 수 있는지에 대해 말씀해주신다.
등 4점 척도 5문항 응답결과로 산출된 표준화 지표(PERFEED)
맞춤형 수업 ○ 선생님은 학생의 요구와 지식 수준에 맞추어 수업을 진행하신다.
○ 선생님은 주제나 과제를 이해하지 못하는 학생들을 위해 개별적인 도움을 제공해 주신다.
○ 선생님은 대부분의 학생이 이해하기 어려운 주제에 대한 수업을 할 때 수업 내용이나 방식을 바꾸신다.
4점 척도 3문항 응답결과로 산출된 표준화 지표(ADINST)
탐구 기반 수업 ○ 학생들은 과학 문제에 대해 토론해야 한다.
○ 학생들에게 자신의 생각을 설명할 기회가 주어진다.
○ 학생들은 자신이 한 실험으로부터 결론을 도출해야 한다.
○ 학생들은 아이디어를 점검하기 위해 탐구 조사할 것을 요구 받는다.
등 4점 척도 9문항 응답결과로 산출된 표준화 지표(IBTEACH)
출처: 조성민 외(2018, pp. 243~2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