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뉴욕 주 | ○ 핵심 아이디어와 개념 이해가 교수 학습의 초점이 되어야하는 사회과 개념의 몸체(p.9)- 핵심 아이디어: 핵심 아이디어는 성취기준에 정렬되어 있고, 각 학년 교수학습의 초점이 되어야하는 지속적인 이해를 표방. 더 큰 사회과 관점, 추세, 이슈를 다루기 위해 고안됨. 각 학년별 8-12개로 구성- 개념 이해: 각각의 핵심 아이디어를 지원하기 위해 고안된 보다 구체적인 진술. ○ 사회과 실천: 전학년에 걸쳐 개발해야 하는 사회과학 및 역사적 사고기능을 나타내며, 핵심아이디어와 개념 이해에 포함된 사회 학습 내용 포함(p.9) | ○공통점- 사고기능 및 탐구과정과 연계한 개념 이해 및 적용(전이) 강조- 질문 등 역량 함양을 위한 개념 이해와 관련된 구체 정보 제공○ 차이점- 용어 차이- 캐나다의 경우 학년별 내용 구성 항목인 적용, 탐구, 이해맥락 모두에 관련 개념 제시- 싱가포르의 경우 수행과제를 사회과 교육과정에 제시 |
캐나다 온타리오 주 | ○ 교과 사고개념: 과목에 가장 적합한 방식으로 내용을 생각하고 처리하는 능력이 중요한데, 이를 위해 각 교과를 ‘수행’하는데 내재된 학문적 사고 개념을 적용하는 능력 개발 필요. 탐구과정에 참여할 때 개념 사용(예) 정치: 정치적 의미, 목적과 결과, 안정과 변화, 정치적 관점(p.13)○ 교과 사고개념은 학생들이 교육과정 또는 교실 밖 삶에서 중요한 사건, 개발 및 이슈에 대해 비판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능력을 개발할 수 있는 방법 제공(p.7) |
호주 | ○ 교과 사고 개념: 사회과 하위 영역 각 학문 고유의 사고방식에 따른 교과별 개념 제시(예) 경제와 경영: 자원 배분과 선택, 경영환경, 소비자와 금융소양○ 간학문적 사고 개념: 교과 사고 개념을 바탕으로 사회과 이해를 뒷받침하는 7개 개념 제시(의미, 원인과 결과, 지속성과 변화, 패턴과 경향, 상호관계, 관점)(p.9)※ ‘지식과 이해’스트랜드에서 제시 |
싱가포르 | ○ 핵심적 이해: 각 주제에 대한 학습을 통해 학생들이 얻을 수 있는 주요 직관을 반영. 학습을 위해 더 큰 목적을 제공하고, 검토되어야 하는 주제와 관련하여 배울 필요가 있는 가치 있는 내용을 우선시 함. 개별 사실이나 기능을 넘어서 더 큰 개념, 원리 또는 과정에 초점을 맞추고, 새로운 상황에 전이 및 적용 강조.(p.5)○ 핵심개념: 각 학년 수준 내에서 가르쳐져야 하는 주요 개념을 강조. 사회과의 주요 학습 부분임. 각 단원의 핵심적 이해를 성취하도록 지원(p.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