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3 각국 사회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탐구 관련 세부 내용 및 공통점과 차이점

탐구
미국 뉴욕 주 ○ NCSS가 2013년 발간한 C3프레임 중 ‘탐구 틀’을 NY주 교육과정에 통합하여 사용(정보에 기반한 탐구의 4영역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연동·강화된 아이디어 세트)○ 탐구기반 접근을 통해 학생들은 내용 맥락 내에서 사회과 실천과 문해력 기능을 적용하면서 주제와 개념 이해(pp.7-8) ○ 공통점:- 탐구과정 제시 및 질문, 계열화 등 활동 상세화- 탐구활동을 통한 내용 이해와 기능 함양 및 실제 적용 강조를 통한 학습의 유의미성 및 적극적 참여 강조
캐나다 온타리오 주 ○ 학생들은 ‘탐구과정’의 구성 요소를 사용하여 중요한 사건, 개발, 이슈에 대한 조사와 의사소통. 탐구과정을 적용하여 비판적으로 사고하고 문제를 해결하며, 정보에 입각한 판단을 하고, 아이디어를 전달하기 위해 필요한 기능 개발(p.7) 한 학습의 유의미성 및 적극적○ 차이점:- 탐구과정의 세부 활동에 대한 명칭- 호주의 경우 관련 역량을 아이콘 제시- 싱가포르의 경우 탐구과정에서의 학습의 주도성 강조 및 기능 목표 별도 제시 참여 강조
호주 ○ 사회과에는 질문, 조사, 분석, 평가 및 반성과 의사소통과 같은 다양한 기능 포함. 학생들은 사건, 개발, 이슈 및 현상을 조사하기 위해 이러한 기능을 적용. 사회과 탐구기능은 질문의 유형, 정보, 증거 및/또는 자료 수집, 그리고 하위 맥락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된 분석과 함께 명시적인 교수가 필요함(p.11)※ ‘탐구와 기능’스트랜드에서 제시
싱가포르 ○ 사회적 이슈를 조사하는 탐구과정에 참여함으로 해서 그 이슈에 대한 다양한 사고 방식경험. 학습중인 이슈에 대한 이러한 이해 과정을 통해 자신의 신념을 인식. 또한 자신의 생각과 행동에 대해서도 생각하기 시작. 이런 방식으로 탐구는 반성적 사고와 의미 형성을 촉진함.○ 다양한 형태(과정지향 또는 토론 지향) 가능, 탐구를 위한 교실 문화 조성과 교사와 학생의 역할과 책임 강조(p.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