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15 싱가포르의 탐구과정 별 기능 및 이슈 조사의 결과

탐구 절차 기능들 이슈 조사의 결과
호기심 유발 ○ 선행지식을 도출한다.○ 이해의 공백을 파악하고 질문한다.○ 조사할 가치가 있는 가능한 이슈에 대한 연구와 브레인스토밍○ 조사의 초점을 결정한다.○ 관리 가능한 이슈 조사 질문을 작성한다. a) 조사대상자의 선택 근거를 구체화한다.b) 조사하려는 이슈와 관련된 질문을 작성한다.
데이터 수집 ○ 선택한 이슈와 관련하여 데이터를 식별한다(이해관계자와 다양한 관점, 제약 조건, 가용 자원)○ 데이터를 찾는다- 검색 기능(오프라인 및 온라인 자료)○ 데이터를 수집한다.- 연구 방법,질문지, 인터뷰 및 관찰을 통한 양 적/질적 자료 c) 데이터 수집 계획을 세운다(정보 자료, 데이터 수집 장소와 방법)[참고 : 교사는 학생들에게 여러 가지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이 경우 평가 결과와 진술을 수정해야 한다).
추론 하기 ○ 정보의 자료를 평가한다.- 관련 정보를 이해하고 추출한다.- 주어진 정보로부터 추론을 도출한다.- 증거를 분석하고 평가한다.- 서로 다른 관점을 비교하고 대조한다.- 사실, 의견, 판단을 구별한다.- 가치를 인식하고 편견을 탐지한다.- 증거와 논증에 대한 추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결론을 도출하고, 다른 관점을 고려한다.○주변 사람들에게 그들의 행동이 초래하는 결과를 고려하여 건전한 추론과 책임 있는 의사결정을 한다. d)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 평가한다(트렌드, 문제, 제약, 자원, 관점).e) 합리적이고 입증된 결론에 도달한다.f) 우려를 개선하기 위한 권고안을 제시한다.
반성적 사고 ○ 이슈 조사 과정을 반성한다.○ 사회적 이슈에 대한 이해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는 개인적인 가정과 신념을 반성한다.○ 이슈조사 과정에서 얻은 새로운 이해에 대해 생각해본다.○ 추가 조치/추천의 가능성에 대해 생각해본다. g) 급우들과 제안서에 대해 의사소통한다.h) 조사의 과정, 피드백, 이슈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반성한다.<확대>i) 제안된 행동을 실행한다.j) 실행한 행동에 대한 피드백을 수집한다.k) 실행한 행동을 평가한다.
출처: MOE, Singapore, 2016: 19-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