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Ⅳ-4 인간발달과 가족 영역의 목표와 교과서 내 학습목표와의 관련성 분석

2015 개정 교육과정 가정교과의 인간발달과 가족 영역 목표
① 자신의 발달과 ② 가족관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③ 긍정적 자아정체감을 형성하고 ④ 배려와 돌봄을 실천함으로써 행복한 삶을 위한 ⑤ 관계형성 능력과 ⑥ 실천적 문제해결 능력을 기른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의해 집필된 가정교과서의 핵심개념 ‘발달’ 영역 목표 관련성
출판사 학습목표
A • 청소년의 신체 발달의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1
• 청소년기의 인지·정서·사회성 발달의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1
• 청소년기 자아정체감의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1, 3
• 청소년의 성적 발달의 특성을 이해하여 자신의 성적 변화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 1
• 청소년기의 친구 관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분석하고, 건강한 친구 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할 수 있다. 5, 6
B • 청소년기의 발달 특징과 자신의 발달 특징을 연결 지어 설명할 수 있다. 1
• 자아 존중감을 향상시키고 긍정적인 자아 정체감을 형성할 수 있다. 3
• 청소년기 또래 문화의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5
• 친구 관계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분석하여 건강한 친구 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할 수 있다. 5, 6
• 청소년기의 성적 발달 특성을 설명할 수 있다. 1
• 자신과 타인의 성을 소중히 여기고, 건강한 성 가치관을 형성할 수 있다. 1
C • 청소년의 신체적 발달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 1
• 나의 신체적 변화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 1
• 청소년의 인지적, 정서적, 도덕적, 사회적 발달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 1
• 나와 다른 사람을 이해하고 긍정적인 자아정체감을 형성할 수 있다. 3
• 청소년기의 성적 발달의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1
• 성, 임신, 피임 등에 대한 올바른 정보를 탐색할 수 있다. -
• 청소년의 성 문제에 대하여 비판할 수 있다. -
• 성적 자기 통제력과 건강한 성 가치관을 형성할 수 있다. 1
• 또래 관계에서 발생하는 문제의 원인과 해결 방안을 탐색할 수 있다. 5, 6
• 건강한 동성 및 이성 친구 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5
D • 청소년기의 신체적, 지적, 정서·사회적 발달 특징을 이해할 수 있다. 1
• 청소년기 발달 특성을 이해하여 자신의 행동 특성을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1
• 자아존중감을 향상시켜 긍정적인 자아정체감을 형성할 수 있다. 3
• 청소년기의 성적 발달 특성을 알고 긍정적으로 자신의 성적 변화를 받아들일 수 있다. 1
• 자신과 타인의 성을 소중히 여기는 바람직한 성 가치관을 형성할 수 있다. 1
• 우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건강한 친구 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5
E • 청소년기의 신체적 발달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1
• 청소년기의 인지적 발달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1
• 청소년기의 정서적·사회적 발달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1
• 자신의 발달 특징을 바르게 이해하여 자아 존중감을 높이고, 긍정적인 자아 정체감을 형성할 수 있다. 3
• 청소년기의 성적 발달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1
• 자신과 타인의 성을 소중히 여기는 건강한 성 가치관을 형성할 수 있다. 1
• 청소년기 또래 문화의 특징을 이해하고, 친구 관계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분석하여 건강한 친구 관계를 유지하는 방안을 제안할 수 있다. 5,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