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Ⅳ-17 초·중학교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활성화 방안 단위 : 명 (%)
주요 범주 | 세부 내용 | 사례 수 | 퍼센트 | 소계 퍼센트 |
물리적 환경 구축 | 장비 지원 | 293 | 45.3% | |
시설 확충 | 265 | 41.0% | |
예산 지원 | 51 | 7.9% | |
전문가 및 관련 인력 지원 | 38 | 5.9% | |
소계 | 647 | 100.0% | 46.1% |
교사 전문성 강화 | 교사 연수 | 257 | 83.7% | |
자율적 교육과정 운영 | 25 | 8.1% | |
교사 간 정보 공유 | 25 | 8.1% | |
소계 | 307 | 100.0% | 21.9% |
교과 교육 지원 | 교육 자료 지원 | 118 | 49.8% | |
교육과정 연계 | 54 | 22.8% | |
교육 시수 확보 | 33 | 13.9% | |
교과 내용 축소 | 21 | 8.9% | |
학습 학생 수 조절 | 11 | 4.6% | |
소계 | 237 | 100.0% | 16.9% |
교육 주체 인식 개선 | 교사 인식 개선 | 61 | 75.3% | |
학생 인식 개선 | 16 | 19.8% | |
학부모 협조 | 11 | 13.6% | |
소계 | 81 | 100.0% | 5.8% |
학생 역량 제고 | 디지털 리터러시 기초 교육 | 70 | 100.0% | |
소계 | 70 | 100.0% | 5.0% |
정책적 제안 | 정책의 점진적 도입 | 30 | 56.6% | |
관련 정책 홍보 | 14 | 26.4% | |
정책의 현행 유지 | 9 | 17.0% | |
소계 | 53 | 100.0% | 3.8% |
합계 | 1,402 | 1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