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Ⅳ-16 초·중학교 교과 수업에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장애 요인 단위 : 명 (%)

주요 범주 세부 내용 사례 수 퍼센트 소계 퍼센트
물리적 환경 부실 시설 부족 502 65.3%
장비(기기 부족) 240 31.2%
예산 27 3.5%
소계 769 100.0% 52.5%
교과 교육 여건 미비 학습시간 부족(시수 부족) 62 32.0%
콘텐츠 부족 54 27.8%
과다한 교과 내용 45 23.2%
교육과정 연계 19 9.8%
학생 수 과밀 14 7.2%
소계 194 100.0% 13.3%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인식 부족 교사의 관심 부족 108 58.7%
교사의 교육 필요성 인식 부족 38 20.7%
학생의 인식 부족 38 20.7%
소계 184 100.0% 12.6%
학생 역량 부족 학생의 디지털 기기 활용 능력 부족 72 40.7%
디지털 기기 사용 부작용 58 32.8%
학생 발달 단계 30 17.0%
학부모 이해와 관심 부족 13 7.3%
열악한 개인 디지털 환경 4 2.3%
소계 177 100.0% 12.1%
교사 역량 부족 교사의 지도 역량 69 49.3%
교사의 지식 부족 30 21.4%
과다한 업무 29 20.7%
교사의 기기 활용 능력 부족 12 8.6%
소계 140 100.0% 9.6%
합계 1,464 100.0%